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지역사회복지론_지역 사회 개입 보고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강원도 고성군 지역사회 소개
Ⅱ. 고성군 다문화 가정 현황
Ⅲ. 현재 시행 중인 프로그램
Ⅳ. 지역사회 문제
1)문제제기
2)문제 도출의 근거자료
Ⅴ.개입
1)목적 및 목표(세부목표)
2)세부목표에 입각한 구체적 실행계획 및 개입방법,평가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강원도 고성군 지역사회 소개
1)강원도 고성군의 위치
강원도 고성군은 강원도 동북부에 위치하고 동경 128°35′18″까지 북위 38°36′38″로부터 북위 38°11′06″간 에 위치하여 북으로 금강산을 사이에 두고 통천군과 접하고 동쪽은 동해, 서쪽은 향로봉을 경계로 하여 인제군에 접하였으며 남으로는 속초시 장사동을 경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안가를 끼고 있고 북에는 금강산, 인근에 속초와 같은 관광자원들이 있어서 어업과 관광업과 같은 산업이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2) 지역사회 면적과 크기
고성군은 강원도에서도 최북단에 위치한 지역으로서, 그 연장거리는 동서 간 32.17km, 남북 간 48.13km이다.
고성군의 면적은 총 664.34㎢로 종전 621.17㎞에서 미복구토지의 확정측량 등으로 면적이 늘어났다. 이중 경지면적 57.1㎢(밭 17.6, 논 39.5)이며, 임야 477.9㎢, 기타 129.3㎢이다. 행정리 127개리, 법정리 88개리, 자연부락 144개 마을, 561개반의 행정조직을 가지고 있다.
<중 략>
Ⅳ. 지역사회 문제
1) 문제제기
현재 고성군에서 시행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은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사회, 특히 자신들이 거주하는 고성군 지역사회에 적응해 나가고 다른 결혼이주여성들을 알아갈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하지만 재정적으로나 인력에 한계가 있어서 프로그램들이 연중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고성군에 정착한 기간이 꽤 긴 여성들보다는 결혼 후 한국에 온지 얼마 안 돼서 적응문제를 겪고 있는 대상들에게 주로 효과를 내는 프로그램들이라고 할 수 있다. 생활이 어느 정도 안정적인 수준에 접어든 여성들에게 현재 시행되고 있는 프로그램만으로는 그들이 고성군민과 같이 보통의 생활을 영위하게 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여겨진다. 여기서 말하는 ‘보통의 생활’이란 단순히 가정생활을 누리는 것뿐만 아니라 지역민으로서 활동하고, 역량을 갖추며, 생산 활동에 참여하여 경제 주체로서 까지 활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고미영,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임파워먼트 접근에 대한 구성주의적 이해와 적용」,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비판사회정책, 제 23호 2007.2), page(s) : 131-163
유해숙, 「새터민의 무력감 원인과 임파워먼트 전략」,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동향과전망, 통권 77호 2009.10), page(s) : 352-388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지역사회복지론_지역 사회 개입 보고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유아의 건강한 보육과 수준 높은 보육환경을 갖추기 위한 현대사회 보육교사의 자질과 역할을 설명해 보세요. (0) | 2022.12.23 |
---|---|
대상관계가족치료-부부상담사례 (0) | 2022.12.23 |
교육현장에서의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적 관계를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협력방안 (0) | 2022.12.22 |
안정애착이 영유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본인이 지지하는 이론을 하나 골라 주요내용을 설명하고 적용방안 (0) | 2022.12.22 |
보육을 전공하는 예비교사로써 영유아에게 발생될 수 있는 감염병에 대해 다음과 같이 레포트 작성기준에 맞추어 작성하여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0) | 2022.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