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ODA 효과성 제고를 위한 ODA 추진체계 비교 연구 리포트”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문제제기
2. 연구의 필요성
3. 관련 국제기구
Ⅱ. 기존문헌 검토
Ⅲ. 영국의 ODA 체계를 활용한 한국의 ODA 효과성 제고
1. 영국의 ODA 현황 및 특징
2. 한국의 ODA 현황 및 특징
3. 영국과 한국의 ODA 추진체계 비교
Ⅳ. 연구가설구성과 분석방법 논의
Ⅴ. 분석 및 결과해석
Ⅵ. 결론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2차 세계대전 이후 개도국의 개발과 빈곤퇴치를 지원하기 위하여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이 중 가장 대표적으로는 공적개발원조(ODA)가 있으며, 각국의 정부와 공공기관이 개도국의 경제발전 및 사회복지를 증진하기 위해 제공하는 원조 활동이다. 우리나라 또한 지난 60년 동안 지속적인 사회발전과 경제성장을 이루었고, 이러한 발전과정에는 선진국으로부터 받은 유・무상 원조가 크게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공적개발원조(ODA)가 수원국의 경제발전과 빈곤퇴치 등에서 실제적 효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으며 국제사회는 원조의 질적・양적 효과성을 높여야 하고, 공여국과 수여국(수혜국) 간에서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진해야만 한다. 이 글에서는 오늘날 꾸준히 늘어가는 ODA 지원 추세에 따라 핵심 요소로 OECD DAC와 공적개발원조(ODA)를 들고자 한다.
1961년 출범한 OECD DAC(개발원조위원회)는 OECD 산하 25개 위원회 중 하나로 현재 30개의 회원국으로 구성되며, 개도국에 대한 원조 활동을 지속해서 추진하여 왔다. 또한 공적개발원조(ODA)는 개도국의 경제와 사회 복지 발전을 도모하는 공식적 재정 흐름으로 볼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국가 상호 간 또는 다자국가 간으로 발생한다. 그러므로 공적개발원조는 크게 양자간 원조와 다자간 원조로 구분할 수 있으며, 양자간 원조는 상환 의무 유무에 따라 유상원조와 무상원조로 구별되고 다자간 원조는 국제기구 출연 및 출자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세계적으로 빈곤은 감축되는 추세이며, 최빈개도국의 수도 감소하는 결과를 보인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무역, 분쟁, 실업, 이민, 전염성, 환경 등의 문제가 심화되면서 최빈개도국에 속하는 여러 국가들은 좀 더 다각적 측면으로 원조를 요청하고 있는 실정이다.
‘ODA 효과성(Aid Effectiveness)은 공여국의 원조가 수원국의 경제성장과 정치 및 사회발전에 어느 정도 효과적으로 기여하고 있는지를 의미한다.’국제사회는 ......<중 략>
참고문헌
“개발원조위원회 (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외교부』, 2001.07.05., http://www.mofa.go.kr/www/brd/m_3889/view.do?seq=275344&srchFr=&srchTo=&srchWord=DAC&srchTp=0&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page=1 , (검색일: 2019.10.18.).
“국제개발협력의 개념과 목적”, 『공적개발원조』, http://www.odakorea.go.kr/ODAPage_2018/cate01/L01_S01_01.jsp , (검색일: 2019.10.18.).
김경일, “공적개발원조(ODA)와 실시체계에 관한 연구,” 『영남정치학회보』, 2001., pp. 22.
권율, “OECD/DAC의 공적개발원조 논의와 동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 pp, 74, 79.
김학수, “중소규모국의 ODA 지원현황과 한국의 대응전략,”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4., pp. 23.
김은미,김지현, “한국 원조체계의 분절(fragmentation)이 원조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및 개선방안,” 『한국국제협력단』, 2009.11., pp. 167.
김학실,최영출,이현주,김숙연,Nemoto, Masatsugu, 『효과적인 ODA 사업 추진체계 : 현재와 미래』,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2017.
김지유,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추진체계 변화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02., pp. 63-67
김정해,손혁상,권율,이원희,이창길, “한국형 공적개발원조(ODA)의 효과적 추진을 위한 통합체게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미래사회 협동연구 총서』, 2013.02., pp. 95-154.
김종섭,박명호 외 “유럽의 ODA 정책과 한․유럽 개발협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 pp. 228-229.
김은미,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ODA) 추진방향 연구,” 『한국국제협력단』, 2012.07., pp. 174-176.
김태균, “‘무풍지대’ 해외원조에도 개혁의 바람을 불어 넣자,” 『한겨레신문』, 2017.08.29.,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08702.html, (검색일: 2019.12.09).
“Development Co-operation Directorate,” 『OECD.org』, http://www.oecd.org/dac/ , (검색일: 2019.10.18.).
“다자간 원조,” 『doopedia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52001&cid=40942&categoryId=31866 , (검색일: 2019.10.18.).
DFID,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prosperity, poverty and meeting global challenges," 『London: DFID』, 2017.
Donor Tracker, "영국, 한국 ODA 각종 통계자료,“ https://donortracker.org/country/united-kingdom, (검색일: 2019.12.05.).
Robert Gillanders, "The Effects of Foreign Aid in Sub-Saharan Africa," 『The Economic and Social Review, Economic and Social Studies』, 2011., pp. 339-360.
문경연, “영국 대외원조 정책 및 추진체계 변화에 대한 연구,” 『국제개발협력학회』, (제5권 제1호 (통권8호) ), 2013.06., pp. 75-112
박광동, “주요국가의 ODA법제 연구 -종합보고서-,” 『한국법제연구원』, (법제교류연구 10-15-1-1), 2010.10.29., pp. 28.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Aid,” https://www.cgdev.org/page/aid-6, (검색일: 2019. 11. 27).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Quality of ODA (QuODA)," https://www.cgdev.org/sites/all/cms_iframes/quoda_2014/bar.php?g=mi&agency_group=none, (검색일: 2019.12.02.).
서용석, “선진국 ODA정책의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11., pp. 67.
신상협, “영국의 공적개발원조(ODA에 대한 연구 영국 사례가 한국에 주는 교훈,”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2011.08. pp. 2-3
CDI, “Aid component 2018,”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MaKVy81h1TDD5N9M5RVZDSlrEA6o_lw5oJ35z3ZgCOw/edit#gid=224519960, (검색일: 2019.12.01.)
Stephen Kosack, "Effective Aid: How Democracy allows Development Ai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orld Development』, vol.31, no.1, 2003., pp. 1-22
설경훈, “DAC 가입의 의의와 도전 과제,” 『국제개발협력단』, 2009.11., pp.2-3
“Evans School Policy Analysis & Research Group,” https://evans.uw.edu/policy-impact/epar/research/evaluating-donor-level-results-measurement-systems, (검색일: 2019.11.28.).
EPAR, “Evaluating Donor-Level Results Measurement Systems,” https://evans.uw.edu/policy-impact/epar/research/evaluating-donor-level-results-measurement-systems, (검색일: 2019.11.27.).
OECD.Stat, “DAC Members' Net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2017 통계,” http://www.oecd.org/dac/stats/statisticsonresourceflowstodevelopingcountries.htm, (검색일: 2019. 10. 10).
이명근,홍문숙,강선주, "인도적 지원정책 및 사업 연구 : 긴급구호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국국제협력단』, 2012.07., pp. 148,149.
Independent Commission for Aid Impact, "DFID's Private Sector Development Work," 『London: DFID』, 2014.
Audit, Accountability and Government White & Hollingsworth,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National Audit Office (United Kingdom),”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Audit_Office_(United_Kingdom), (검색일: 2019.12.01.).
OECD.Stat, “GNI/ODA 통계,” 『OECD.org』, https://data.oecd.org/oda/net-oda.htm, (검색일: 2019.10.15.)
이명진,김기국,최영식,송치웅,김은주, “대개도국 과학기술협력방안 수립을 위한 조사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08-14] 대개도국 과학기술협력방안 수립을 위한 조사연구), 2008.12., pp.63-64.
은성수, “한국의 개발협력,” 『대외경제협력기금』, 한국수출입은행, 2017.09., pp. 48.
Arthur A. Goldsmith, “Foreign Aid and Statehood in Africa,” 『International Organization』, 2001., pp. 123-148
임소진,정상희, “국제개발협력의 지방분권화에 대한 소고: 영국과 독일의 원조정책 비교연구,” 『한국유럽학회』, (유럽연구 35권4호), 2017.11., pp.16
이학교, “ODA 사업의 분절성 극복을 위한 추진체계의 재정립 방안,”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2011,12.
주유선, “OECD DAC의 ODA 현대화 현황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09.30., pp. 2.
조현주, 김은미, 정헌주, “한국 공적개발원조의 다자성 양자원조(multi-bilateral assistance)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5.12., pp. 6
정성호, “ODA 효과성 제고를 위한 OECD/DAC 회원국들의 노력,” 『국제개발협력』, 2007.11., pp. 12.
정혁, “ODA 규모 결정요인 실증분석과 한국에의 적용,”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vol.25, no.1), pp. 7.
최영출, 김학실, “ODA 사업추진의 효과성 강화를 위한 정책 시뮬레이션: 시스템다이내믹스 방법론의 적용,” 『한국자치행정학보』, 2017., pp. 2
HM Treasury & DFID, "UK aid: Tackling Global Challenges in the National Interest," 『HM Treasury and DFID』, 2015.
"한국수출입은행 - (EDCF)," 『공적개발원조』, http://www.odakorea.go.kr/mz.contents.ContsView.do?conts_key=28, (검색일: 2019.12.15).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ODA 효과성 제고를 위한 ODA 추진체계 비교 연구 리포트”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무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 4P 레포트(와디즈에 있는 상품으로 마케팅 기획) (0) | 2024.02.22 |
---|---|
현재 성공적인 리더로 평가되는 국내 기업의 경영자의 사례에 대해 분석하시오 (0) | 2024.02.20 |
한국 화장품 중국시장 진출전략 2018_12 (0) | 2024.02.16 |
리더십 (0) | 2024.02.07 |
디지털 콘텐츠 제품의 관세통관제도에 관한 연구 (0) | 2024.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