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유방울혈, 자궁수축부전 산욕부간호케이스스터디 여성실습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유방울혈, 자궁수축부전 산욕부간호케이스스터디 여성실습”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투여중인 약물 - 환자에게 투약되는 약명, 약의 사진, 용량, 약리작용, 부작용 및 금기사항 기재
4. 간호진단(5개)
5. 간호과정(2개) - 간호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기재
6. 간호평가
7. 결론
8.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간호진단 #1 : 유방울혈과 관련된 안위변화
자료수집

· 주관적자료: 3/26 “가슴이 단단하고 아파요”
3/27 “어제보다 더 가슴이 단단하고 아파요”
ㆍ 객관적자료: 3/26 유방 filling 상태, 한두방울 유즙 분비 관찰됨
3/27 유방 filling 상태, 한두방울 유즙 분비 관찰됨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유방울혈로 인한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 3일 이내로 유방울혈로 인한 가슴 단단함을 호소하지 않는다.
유방울혈의 자가간호 방법을 2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

간호계획
1.
유방울혈 통증, 울혈상태와 유즙 분비를 관찰한다.
이론적 근거
1. 유방울혈은 분만 후 3~5일경에 나타나며 24시간 정도 지속된다. 유방의 울혈은 갑작스런 호르몬 변화로 인해 유즙생성량이 증가하여 나타나는 일시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관찰이 필요하다.
간호수행
1. 유방울혈 통증, 유방 울혈상태와 유즙분비를 관찰하였다.
3/26 유방울혈로 인한 가슴 단단함 호소함, 유방 filling 상태, 한 두방울 유즙 분비 관찰됨
3/27 유방울혈로 인한 가슴 단단함 호소함, 유방 filling 상태, 한 두방울 유즙 분비 관찰됨

<중 략>

간호진단 #2 : 분만 후 비정상적 자궁수축 가능성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
자료수집
· 주관적자료: -
ㆍ 객관적자료: 대상자 다태임신으로 5/25 C/S후 입원한 상태임
(다태 임신의 경우 단태아 보다 분만동아 자궁이 더 이완되어 있었기 때문에 자궁퇴축부전 가능성이 더 높다)
3/25 검사결과 RBC 3.77, HGB 11.7, HCT 34.6으로 정상치보다 낮게 측정됨
간호목표
장기목표 : 자궁이 정상적으로 수축하고 저혈량성 쇼크가 관찰되지 않는다.
단기목표 : 1. 퇴원시까지 HOF 위치가 배꼽 아래로 매일 -1cm씩 감소한다.
2. 퇴원시까지 CBC 검사결과가 정상내로 되돌아온다.
3. 퇴원시까지 혈압이 정상수치를 유지한다.

 

참고문헌

박영주 외, 여성건강간호학2, 현문사 3~27p, 102p, 103p, 181~189p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유방울혈, 자궁수축부전 산욕부간호케이스스터디 여성실습”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