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결핵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 결핵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 p3
1. 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 p3
1. 폐의 구조와 기능 ------------------------------ p3
2. 폐결핵의 정의 ---------------------------------- p4
3. 원인 --------------------------------------------- p4
4. 병태생리 ---------------------------------------- p4
5. 결핵의 분류 ------------------------------------- p5
6. 증상과 징후 ------------------------------------- p5
7. 진단 --------------------------------------------- p6
8. 치료 --------------------------------------------- p7
9. 간호 --------------------------------------------- p8

Ⅲ. 사례보고서 ----------------------------------------------- p11
1. 간호 정보조사지 -------------------------------- p11
1) 일반정보 -------------------------------------- p11
2) 건강과 관련된 정보 -------------------------- p11
3) 임상검사 -------------------------------------- p12
4) 진단검사 -------------------------------------- p14
5) 약물 ------------------------------------------- p16
2. 간호과정 ----------------------------------------- p19
1) 간호문제 -------------------------------------- p19
2) 간호 문제 우선순위 -------------------------- p19
3) 간호과정 -------------------------------------- p20

Ⅳ. 느낀 점 --------------------------------------------------- p29

Ⅴ. 참고문헌 -------------------------------------------------- p29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폐결핵(pulmonary tuberculosis)은 제 3종 법정 전염성 질환으로 결핵은 혈류나 림프관을 따라 몸의 어느 기관에나 전파되고 폐가 가장 잘 침범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15년 한 해 동안 전 세계적으로 1,040만 명의 결핵 환자가 발생하였고 179만 명이 결핵으로 사망하였다. 2017년 질병관리본부의 국가결핵관리 지침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률은 2014년 인구 10만 명당 86명, 2015년에는 80명이고 사망률은 2014년 인구 십만 명당 5.3명, 2015년 5.2명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나 모든 결핵의 주요지표는 OECD 회원국 중 여전히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결핵은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 결핵의 발생률은 다른 국가들보다 높기 때문에 치료와 예방에 주의를 기울여야하는 질환이다.
결핵은 혈류나 림프관을 따라 우리 몸의 어느 기관에나 전파될 수 있고 폐에 가장 잘 침범되기 때문에 호흡기계 실습을 통해 결핵에 대해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Ⅱ. 문헌고찰
1. 폐의 구조와 기능
1) 폐의 구조
흉곽에 싸여 있고, 흉막(pleura)으로 둘러싸여 있다. 폐는 쇄골 바로 위에 폐 끝 부분인 폐첨(apex)이 위치하고 횡격막 쪽 넓은 면에 폐저부(base)가 위치하며 신경과 페혈관 및 기관지는 페문(hilus)를 통과한다. 우측 폐의 길이와 무게는 25cm 와 625g 정도로 560g 정도인 좌측 폐보다 넓고 짧으며 무겁다.
(1) 폐첨(pleura) : 쇄골(빗장뼈) 바로 위
(2) 폐바닥(base) : 횡격막 쪽 넒은 면
(3) 폐문(hilum of lung) : 신경, 폐혈관, 기관지, 림프관 신경등이 통과
(4) 종격 : 좌, 우 폐사이의 공간
(5) 종격의 앞 : 흉골 / 종격의 뒤 : 흉추
(6) 오른쪽 폐 : 3엽 10분절, 정상폐기능의 55% 담당
(7) 왼쪽 폐 : 2엽 8분절
(8) 흉막(pleural) : 폐를 둘러싼 두겹의 막으로 구성, 벽측 늑막, 장측늑막으로 덮여 있음
(9) 흉막강(pleural cavity) : 벽측늑막과 장측늑막 사이의 좁은 공간. 음압을 유지하여 폐포가 확장되도록 해줌. 두 막의 마찰을 막기 위한 윤활제 역할을 함.

 

참고문헌

성인간호학Ⅰ(2020). 윤은자 외 공저. 수문사. 596p, 630-640p
하부기도의 구조 사진_ https://blog.naver.com/yeoinnee/90170031841
결핵균 사진_ 네이버 지식백과_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 결핵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