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간호학과-성인간호/정형외과실습/병동실습] 골반골절 케이스스터디”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I301G/btszU3bvOkG/JYIhVXMpPXOEwXla9tJXb1/img.png)
목차
1. 서론
1) 대상자 선정이유
2) 해당 질환에 대한 통계적인 자료
2.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력 (간호력/간호사정/입실 후 경과/진단적 검사/진단을 위한 특수검사/약물적 요법)
3) 간호과정 (간호과정 3개)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이 곳은 PS 가 메인이고 OS와 응급의학과가 입원하여 치료받는 곳으로, 아주 다양한 케이스들이 있었다. 하지만 정형외과 실습을 나온 만큼 정형외과 환자분들을 찾던 중, 다른 골절 환자분들은 이틀이면 걸으려고 노력하시는데 걷지 못하시는 케이스 대상자를 만나게 되었다. 알고보니 이 분은 골반 골절로 절대 침상안정을 하셔야 하는 환자분이셨다. 골반 골절은 쉽게 빙판길에서 엉덩방아를 찧거나, 의자에서 떨어지는 등 건강하던 사람도 일상생활에서 잠깐의 실수로 겪을 수 있는 질환이다. 또한 복강 안의 장기까지 골절로 인해 외상을 입을 수 있어서 남녀노소 겪을 수 있으나 그 위험도는 큰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내과적 질환과는 달리 나도, 내 주위에서도 너무나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질환이기에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어떤 간호문제가 도출될지 공부해보고 싶었다.
2. 해당질환에 대한 통계적인 자료
해마다 골절로 인한 진료 인원은 늘어나고 있는데, 2013년에는 2,100,387명에서 2015년 2,197,102명이다. 누구나 골절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진료 인원 또한 수가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연령별 진료 인원에서도 특정한 연령대 없이 10대~70에서 고루 분포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골절 환자에서는 여성 환자가 특히 많다.
사례대상자에 해당하는 엉덩이 골절 또한 5년 새 32%가 증가했다는 통계 자료를 볼 수 있다.
Ⅱ. 본론
1. 문헌고찰
질환명
골절(Fracture)
정의
뼈가 부러진 상태를 골절이라고 하며, 모든 골절의 병태생리기전과 간호중재는 골절 부위나 형태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골절을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신체기능의 손상이나 기형이 발생될 수 있고, 장기적 부동을 요하는 치료로 인하여 합병증이 유발된다. 대부분의 골절은 낙상, 자동차 사고 등 외부의 과도한 힘에 의해 발생하지만 종양이나 골다공증 등 골조직의 병리적 변화로 인해 뼈가 약해진 경우에는 정상적인 활동 중에도 쉽게 골절이 발생한다.
참고문헌
김금순 외 (2012). 성인간호학I (제7판), 수문사
조경숙 외 (2013),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Joyce M. Black 외 (2011) 성인간호학III , 정담미디어
박상연 역 (2006). 성인 대상자를 위한 간호계획 III (제5판), 정담미디어
원종순 외 (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이명선 외 (2017) 2017학년도 성인간호학실습 I,II 지침서,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통계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 블로그 http://blog.naver.com/nhicblog
약물정보 http://kimsonline.co.kr, http://www.druginfo.co.kr
양선희 외 (2013) 기본간호학I, 현문사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간호학과-성인간호/정형외과실습/병동실습] 골반골절 케이스스터디”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코로나 19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2개, 간호진단 2개 (0) | 2023.11.10 |
---|---|
유방울혈, 자궁수축부전 산욕부간호케이스스터디 여성실습 (0) | 2023.11.09 |
<간호학과> 성인간호 암, 골절, 인공치환술 케이스, CASESTUDY,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급성통증, 감염위험성, 지식부족, 불안, 기능장애위험성 (0) | 2023.11.08 |
울혈성 심부전 Case study (흉막강 내의 체액과다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심장조직 관류 저하와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 체액과다와 관련된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 ) (0) | 2023.11.08 |
신생아 패혈증 (Neonatal Sepsis) 사례연구보고서 (0) | 2023.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