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코로나 19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2개, 간호진단 2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 코로나 19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2개, 간호진단 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I. 문헌고찰
1. 구조와 특성
2. 병태생리
3. 원인
4. 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II. 사례보고서
1. 간호 정보조사지
2.간호과정

III. 참고문헌
1. 출처

 

본문내용일부

1. 구조와 특성
호흡기계는 상부기도와 하부기도로 나뉘며,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고 대사산물의 노폐물인 이산화탄소 제거와 산-염기 균형, 발성, 후각, 체액균형, 체온조절 등의 역할을 한다. 상부기도는 코, 부비동, 인두, 후두로 구성되고 하부 기도는 기관, 기관지, 세기관지, 폐로 구성된다.
1) 상부기도
(1) 비강과 부비동 – 비강은 비중격에 의해 좌우로 나뉘며, 비강상부에는 후각신경(제1뇌신경)이 분포되어 있어 냄새 를 맡고 부비동은 비강을 둘러싼 뼈의 빈 공간으로 공기가 차 있으며, 발성 시 공명을 하고 두개골의 무게를 가 볍게 한다.
(2) 인두 – 구강과 비강 뒤쪽에 있으며 비인두, 구인두, 후인두로 구분된다. 비인두에는 아데노이드와 유스타키오관 의 개구부가 있고 아데노이드는 침입하는 미생물을 포획하는 중요한 방어작용을 한다. 유스타키오관은 중이와 비인두를 연결하며 음식을 씹거나 삼키는 동안 중이와 대기와의 기압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열려 있다.
(3) 후두 – 후두 안쪽에는 가성대와 진성대가 있으며, 진성대 사이의 개구부를 성문이라고 한다. 후두의 성대는 발성 기능뿐만 아니라 호흡기도 안에 축적된 분비물 및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기침반사에도 관여한다. 후두개는 지 렛대 역할을 하는 나뭇잎 모양의 탄력성 있는 구조로 후두 위쪽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삼키는 동안 성문을 덮어 음식물이 기도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고 호흡과 기침을 하는 동안에는 열려 있다.
2) 하부기도
(1) 기관 – 식도 앞에 있으며, 6~20개의 C 모양 연골로 구성되어 있다.
(2) 폐 – 흉곽내에서 가장 큰 기관으로, 가볍고 스펀지 모양의 탄력성 있는 원추형 기관이다. 폐 아래에 있는 횡격 막은 복강과 흉곽을 분리하며, 늑간근과 함께 중요한 호흡근 역할을 한다. 폐는 폐포와 폐포관, 세기관지, 기괁 로 구성되며 우측 폐는 3엽, 좌측 폐는 2엽으로 나뉜다.

 

참고문헌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상권), p324~329, p401~407, 현문사
최스미 외(2018), 핵심 인체 구조와 기능, 수문사
이은희 외(2022),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김일환 외(2022), “2022년 1월 국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발생현황 및 특성”, 주간 건강과 질병•제15권 제8호
박수은(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바이러스(SARS-CoV-2) 특징, 전파 및 임상 양상”, 대한소아감염학회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27권 1호 1-10(10pages)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 코로나 19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2개, 간호진단 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