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간호학과> 성인간호 암, 골절, 인공치환술 케이스, CASESTUDY,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급성통증, 감염위험성, 지식부족, 불안, 기능장애위험성”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Fy1qg/btsz1TSeBSG/TLKhjCUJuRzMHBxc10cDP1/img.png)
목차
Ⅰ. 문헌 고찰: 골절, 인공관절 치환술
Ⅱ. 간호력
Ⅲ. 간호과정
1. 초기자료-간호력 사정 도구
2. 투약과 정맥수액 주입 <입원 ~ 실습기간>
3. 진단검사 <입원 ~ 실습기간>
4. 특수검사 <입원 ~ 실습기간>
5. 치료 및 경과 <입원 ~ 실습기간>
Ⅳ. 간호진단 및 중재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병태생리
①골절의 정의: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이다.
②골절의 원인: 교통 사고, 낙상, 구타, 뒤틀림, 압축손상, 병리적 골절 등
③골절의 종류
1) 상처 상태에 따른 분류: 개방 골절, 폐쇄 골절
2) 골절 형태에 따른 분류: 완전 골절, 불완전 골절, 감입 골절, 분쇄 골절, 전위 골절, 병리적 골절, 각형성 골절, 견열 골절, 행군 골절, 스트레스 골절
3) 골절선의 방향에 따른 분류: 선상 골절, 종적 골절, 사선 골절, 나선 골선, 횡골 절
④골절의 치유 과정
1) 혈종 형성 단계
2) 육아조직 형성 단계
3) 가골 형성 단계
4) 골화 단계
5) 골 강화 단계
6) 골 재형성 단계
임상소견(증상), 진단과정
①골절의 증상: 골절의 원인, 부위, 정도, 조율, 다른 구조에 손상을 준 정도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다.
1)변형: 모양이나 위치가 변하여 각이 생긴다.
2)부종: 골절 부위의 장액성 체액 증가와 출혈로 인해 발생한다.
3)점상 출혈: 피하출혈로 인해 발생한다.
4)근육 경련: 골절부 근육의 불수의적인 수축이 있다.
5)압통
6)통증: 근육 경직, 골편의 중복, 연조직이나 근육의 손상이 원인이다.
7)감각 변화 (저림): 신경 손상 시 발생한다.
8)정상 기능 상실과 비정상적인 움직임: 통증이나 근육 경직으로 인해 초래된다.
9)쇼크: 심한 출혈을 동반할 때나 연조직 손상이 심한 때 올 수 있다.
②골절의 진단 과정: X-RAY, CT, MRI 등의 영상 검사로 골절의 위치와 정도를 확인한다.
치료(수술포함)
①정복(Reduction): 폐쇄 정복(closed reduction)과 개방 정복(open reduction)이있다. 골절 편의 위치를 바로 잡기 위해 힘을 가해 잡아당기는 방법이다.
②고정(Fixation): 외부 고정(external fixation)과 내부고정(internal fixation)이 있다.
골절 부위를 정복한 후 뼈가 치유 될 때까지 그 정복된 위치를 고정하는 방법이다.
참고문헌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7.
김금자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2.
대한 정형외과 학회(http://www.koa.or.kr/info/index_1_11.php)
MEG GULANICK, JUDITH L.MYERS, 『Nursing Care Plans: Diagnoses, interventions, and outcomes』, ELSEVIER, 2017.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간호학과> 성인간호 암, 골절, 인공치환술 케이스, CASESTUDY,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급성통증, 감염위험성, 지식부족, 불안, 기능장애위험성”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울혈, 자궁수축부전 산욕부간호케이스스터디 여성실습 (0) | 2023.11.09 |
---|---|
[간호학과-성인간호/정형외과실습/병동실습] 골반골절 케이스스터디 (0) | 2023.11.08 |
울혈성 심부전 Case study (흉막강 내의 체액과다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심장조직 관류 저하와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 체액과다와 관련된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 ) (0) | 2023.11.08 |
신생아 패혈증 (Neonatal Sepsis) 사례연구보고서 (0) | 2023.11.06 |
뇌경색 케이스스터디 cerebral infarction CASE간호학과 (0) | 2023.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