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_아동간호간호 실습_Cushing's Disease_간호과정2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Case Study_아동간호간호 실습_Cushing's Disease_간호과정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문헌 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치료 및 간호

2. 대상자 사정
1) 대상자 간호력
2) 간호 사정
3) 특수치료 및 검사소견 기록
4) 진단적 검사 및 결과
5) 투약 기록
6) 대상자 간호 과정 기록

참고 문헌

 

본문내용일부

1) 정의
쿠싱 증후군(Cushing disease)은 과도한 유리 코티솔의 순환으로 인한 증상이다. 또는 치료를 위해 오랫동안 당질 코르티코이드를 복용한 경우 등의 원인으로 인해 부신피질에서 당질 코르티코이드가 만성적으로 과다하게 분비되어 일어나는 질환이다.
쿠싱증후군은 아동에게서 흔하지 않지만, 스테로이드치료가 과하게 이루어지거나 장기간 지속 되면 쿠싱증후군의 외형적 특성이 나타나게 된다.

2) 원인
① 뇌하수체: 쿠싱증후군의 부신 과형성은 보통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ACTH)의 과도한 분비에서 일어난다.
② 부신성: 쿠싱증후군의 부신 당류코르티코이드 분비 과다는 일반적으로 부신 피질의 신생물 결과이다.
③ 이소성: 쿠싱증후군에서 ACTH의 자율적 분비의 원인은 뇌하수체 이외 신생물일 경우가 많다. [이런 양성 종양들은 대개 작은 호염기성 선종(basophil adenomas)이거나 큰 비염색성 성종(chromophobe adenoma). ACTH 과잉 분비는 당류 피질 호르몬이 과잉을 초래하는 데 이것을 쿠싱 질환이라 함]
④ 의인성: 외인성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과다투여로 쿠싱 증후군이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⑤식이성 : 식후 위 억제성 폴리펩티드의 정상적 증가에 부신이 부적절한 민감성을 지니는 경우 쿠싱이 나타남

3) 병태생리
쿠싱증후군이 발생하면, 당류피질호르몬의 정상 기능이 과장되어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남
당류 피질호르몬의 과장된 생리작용은 다음과 같다
· 지속저인 고혈당(또는 스테로이드성 당뇨병)
근육 소실과 약화를 초래하는 단백질 조직의 소모, 반상출혈을 초래하는 모세혈관 허약, 뼈의 소실로 인한 골다 공증
골다공증은 매우 심각해서 가벼운 외상에도 골절을 일으킬 수 있다. 다공증성 압박골절이 발생할수 있고, 척추 후만증과 신장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 저칼륨혈증, 부정맥, 근육 허약, 신질환을 초래하는 칼슘 결핍
· 부종과 고혈압을 야기하는 염분 및 수분의 정체
· 좌심실 비대증, 심부전, 뇌졸중 등을 일으키기 쉬운 고혈압

 

참고문헌

Marilyn J, Hockenberry, David Wilcon(2014) 아동 간호학 (총론)/현문사
Marilyn J, Hockenberry, David Wilcon(2014) 아동 간호학 (각론)/현문사
Joyce M. Black, Jane Hokanson Hawks(2013). 성인간호학/정담 미디어
송경애 외 공저(2014) 최신 기본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Case Study_아동간호간호 실습_Cushing's Disease_간호과정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