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ALS) 케이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5lP02/btstSz1dS3a/VTje9Nn9MI2OGj28hUJhb0/img.png)
목차
Ⅰ. 문헌고찰
1. 사례선정 동기
2.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정의
3. ALS의 원인과 위험요인
4. ALS의 병태생리학적 특징
5. ALS의 증상과 징후
6. ALS의 진단 및 검사
7. ALS의 치료 및 간호
8. 가능한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Ⅱ. 사례보고서
1. 간호정보조사지
2. 낙상위험 사정 도구
3. ALSFRS-R 평가척도
4. 진단검사
5. 임상검사
6. 약물
7. 간호문제
8. 간호과정
#1.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2. 수술과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3. 하지 근육약화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문헌고찰
1. 사례선정 동기
간호과정 사례를 고민하던 중 몇 년 전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적으로 급속하게 퍼져나간 릴레이 기부 캠페인이 기억났다. 이 캠페인은 차가운 얼음물이 닿을 때처럼 근육이 수축되는 루게릭병 환자들의 고통을 잠시나마 함께 느껴보자는 취지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당시 해외유명인사뿐만 아니라 국내 정치인, 연예인, 기업총수, 운동선수 등이 참여하면서 급속도로 확산되었고, 그렇게 모인 기금은 근위축성측색경화증의 신약 연구 등에 사용되었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질병의 원인과 치료법이 밝혀지지 않아 근위축성측색경화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하루하루를 힘들게 살아가고 있다.
루게릭병(근위축성측색경화증, ALS)은 운동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질환으로 대뇌피질의 위운동신경세포와 뇌간 및 척수의 아래운동신경세포 모두가 점차적으로 파괴되다가 병이 진행되면서 결국 호흡근육의 마비로 사망에 이르게 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근위축성측색경화증으로 진단된 이후 환자의 수명은 평균 3~4년이지만 10% 정도는 증상이 점차 좋아지는 양성 경과를 보이며 10년 이상 생존하기도 한다. 근위축성측색경화증 환자들의 생명연장을 위해 장기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근위축성측색경화증 환자들의 삶의 질을 상승시키기 위해 질병을 이해하고 대상자를 어떻게 간호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번 간호과정 케이스 연구를 통해 근위축성측색경화증의 증상과 병태생리, 치료와 간호에 대해 이해하고 공부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이 사례를 선정하게 되었다.
2.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정의
근위축성 측색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은 상하 운동신경원의 변성으로 나타나는 만성 진행성 신경학적 질환이며, 임상적으로 근육위축, 근력약화, 섬유속성연축 등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신경계 병변이다. 병태생리적으로 ALS에서는 중추신경계의 운동신경세포가 파괴됨으로써 근육들이 운동신경의 자극에 대해 적절한 운동기능을 나타내지 못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호흡근이 약해지고 마비되어 죽음에 이르게 된다. 반면 신체에 분포된 감각신경, 자율신경 등은 거의 침범되지 않으므로 임상적으로 감각이상 또는 자율신경 장애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참고문헌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2020), p.1230~1232 근위축성측색경화증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2020), p.622~623 분무요법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2019), p.495~496 근위축성측색경화증
한국루게릭병(ALS)협회, “루게릭병이란”, http://www.kalsa.org/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정보 N의학정보, “루게릭병”, https://www.snuh.org/main.do
삼성서울병원 약제부 약물정보, 복약지도 정보, “호흡기약물“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PH&MENU_ID=004018014
드러그인포, “약물정보”, https://www.druginfo.co.kr/
위키백과“스티븐호킹”, 일반정보
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D%8B%B0%EB%B8%90_%ED%98%B8%ED%82%B9
유튜브, “삐루빼로”, 20대 루게릭환자의 증상과 입원생활 영상 참고
네이버블로그, “행복한부자의 슬기로운 루게릭병 투병 생활”, 루게릭환자의 투병생활 기록
분당서울대병원, “안전한 침상과 휠체어 이동 방법” 이미지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BCD8&MENU_ID=006008013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ALS) 케이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se Study_아동간호간호 실습_Cushing's Disease_간호과정2개 (0) | 2023.09.15 |
---|---|
아동간호 CASE STUDY_잠복고환, 모유수유 (0) | 2023.09.14 |
아동간호학 기관지 천식 케이스 스터디 (0) | 2023.09.14 |
폐렴 케이스/ Pneumonia case/ 소아과실습케이스/ CASE STUDY/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 문헌고찰 (0) | 2023.09.14 |
성인/케이스스터디/퇴행성골관절염/무릎관절치환술 (0) | 2023.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