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 CASE STUDY_잠복고환, 모유수유”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S6rY2/btstS8bcwaH/W9ZDqHp0TxlDQBXp0wdGA0/img.png)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사정
1) 인적사항
2) 출생력
3) 환아의 건강문제
4) 임상치료
5) 투약
Ⅲ. 간호과정(SOAIP)
본문내용일부
1. 진단명
잠복고환
2. 원인
잠복고환은 음낭 안에서 고환이 촉지되지 않는 생식기계의 선천성 이상으로, 고환이 음낭 속이 아닌 서혜부나 복강 등 비정상적인 곳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정상 신생아의 3%, 조산아의 30%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그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나, 대개 고환이나 호르몬의 이상으로 고환이 정상 하강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고환도대나 샅굴, 정관, 겅계혈관, 음낭 등에 이상으로도 발생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또한 성분화이상, 요도하열 등 다양한 선천성 기형들과 흔히 동반되는 것으로 보인다.
3. 임상증상
잠복고환은 양측성이거나 일측성일 수 있으며 음낭에서 고환이 촉지되지 않거나 그 크기가 감소하고, 음낭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또한 드문 경우에는 잠복고환이 꼬여 서혜부에 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4. 의미있는 검사소견
신생아의 대부분은 출생 시 신체검사에서 고환의 촉진으로 확인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하고 안전한 비침습적 검사법으로, 생후 1년 이후에도 고환이 촉지되지 않는다면 상승고환이거나 퇴축고환일 수 있다. 다른 검사로는 초음파, CT, MRI, 복강경 검사 등을 통해 진단을 내릴 수 있다. 특히 복강경 검사는 촉지되지 않는 고환의 존재 여부나 위치 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해당 소견에 따라 수술을 결정할 수 있다.
5. 치료
잠복고환이 음낭이 아닌 비정상적인 위치에 존재할 경우 정자를 만드는 기능이 저하되어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정상인에 비해 고환암의 발병률이 약 5배 정도 높기 때문에 고환이 자연적으로 하강하지 않으면 수술적 치료가 행해져야 한다. 생후 6개월 이후에는 고환이 자연하강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생후 6개월에서 12개월 사이에 치료를 진행할 것을 권장하는데, 그 종류에는 서헤부 절개를 통한 고환고정술, 복강경 수술, 드물게는 자가이식수술 등이 있다. 이외에 비수술적 치료에는 호르몬 요법으로,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자극하는 주사제를 투여하여 자연하강을 촉진할 수 있다.
참고문헌
아동건강간호학I(수문사), 홍경자 외
아동간호학 총론(현문사),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실습I 실습지침서(포널스), 석정원 지음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 CASE STUDY_잠복고환, 모유수유”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H(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문헌고찰, 간호진단 2개(간호과정 포함) (0) | 2023.09.15 |
---|---|
Case Study_아동간호간호 실습_Cushing's Disease_간호과정2개 (0) | 2023.09.15 |
성인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ALS) 케이스 (0) | 2023.09.14 |
아동간호학 기관지 천식 케이스 스터디 (0) | 2023.09.14 |
폐렴 케이스/ Pneumonia case/ 소아과실습케이스/ CASE STUDY/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 문헌고찰 (0) | 2023.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