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학 기관지 천식 케이스 스터디”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YOEmf/btst0yl7vEn/oBpmfFsiS0GN7pXwjAQgqk/img.png)
목차
Ⅰ. 문헌고찰
1. 질병명
2. 질병의 정의 및 특성
3. 질병의 원인
4. 질병의 병태생리
5. 질병의 증상
6. 질병의 진단
7. 치료
8. 간호중재
Ⅱ. 임상사례보고서
1. History Taking
1) Personal Identification (환자소개)
2) Past History (과거력) / Family History (가족력)
3) Present Illness (현병력)
4) Personal History (개인력)
5) Diagnostic Test (진단검사)
6) 성장발달단계에 따른 발달사항
2. Nursing progress
1) `Nursing problem list' 기록지
2) `Nursing diagnosis' 기록지
3) `Nusing diagnosis 및 의미있는 자료‘ 기록지
4) `간호과정‘ 기록지
3. Referance
본문내용일부
1. 질병명
기관지천식 (bronchial asthma)
2. 질병의 정의 및 특성
천식은 기도가 수축하고 염증이 생기는 흔한 만성 호흡기 질환이다. 천식은 평소에도 기관지에 염증이 존재하므로 정상인들에게는 아무렇지도 않은 가벼운 자극에도 쉽게 기도가 좁아지게 되며 천명(숨쉴 때 쌕쌕거리는 소리), 기침,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만일 치료를 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한다면 오랫동안 폐 기능이 감소된다. 기관지의 염증으로 기관지 점막이 부어오르고 기관지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면서 점액이 분비되고 그로인해 기관지가 막혀 숨이 차게 되는 것이 원리라 할 수 있다. 이것이 반복되면 섬유화 및 기도개형이 발생하면서 영구적인 폐 기능 저하를 초래한다.
*기도개형 : 좁아진 기도는 다시 원래대로 넓어지지 않으며 그대로 좁아진 상태로 굳어버리는 것. 심한 천식환자 뿐만 아니라 경증인 천식환자에게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기도수축과 염증을 조절함으로서 기도개형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중 략>
5. 질병의 증상
천식이 조절되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은 증상을 하나 이상 가지고 있는 것이 대다수이다.
⓵ 천명 : 숨을 들이쉬고 내쉴 때 흔히 들을 수 있는 휘파람 비슷한 소리 (쌕쌕 거리는 소리).
⓶ 기침 : 발작적이거나 밤에 더 심해지는 기침.
⓷ 흉부압박감 : 가슴을 조이는 듯한 느낌이나 답답한 느낌.
⓸ 호흡곤란 : 빨대를 입에 물고 숨을 쉬는 정도로 힘들거나 그 이상으로 숨쉬기가 힘들 수도 있고, 전혀 숨을 못 쉴 만큼 힘들 수도 있다. 호기 시가 흡기 시보다 숨쉬기가 힘들다.
⓹ 가래 : 염증반응으로 생성된 분비물을 제거하고자하는 생체 내의 기전이 작용한 결과로 가래가 배출된다.
⓺ 기도수축 : 기도의 근육이 꽉 죄어져서 기도가 좁아지고, 이것으로 인해 호흡이 힘들어지게 된다.
⓻ 염증 : 천식이 있다면 기도는 빨갛게 붓고 예민해지게 된다. 천식발작이 일어나게 되면 이는 더욱 심해지는데, 이를 염증이라 한다. 기도 내의 염증은 기도를 좁혀 기도 내 공기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이 염증은 잘 낫지 않으며, 정상인들에 비해 가벼운 자극에도 쉽게 기도를 좁게 만든다.
참고문헌
김근순 외. (2017). 여덟째판 수정판 성인간호학Ⅱ. 파주 : 수문사. p949.
강현숙 외. (2011). 근거기반 기본간호학Ⅱ. 파주 : 수문사. p775~780.
김영혜 외. (1994). 아동 간호학 각론. 서울 : 도서출판 정담. p215~217.
김명자 외. (1997). 기본간호학(상). 서울 : 현문사. p423~424.
윤희옥 외. (2016). 아동간호학Ⅱ 제2판. 서울 : 현문사. p15, p490~498.
김은영. (2017). 성장과 발달. 대구 : 배영출판사. p36~39, p45~49, p53, p87, p95~101.
김선수, 권인수 (2016). 초등학생의 천식 자가관리 지식과 실천의 관계.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2(2), 87-96
정용선,김진선. (2010). 아동의 발열과 발열관리: 문헌고찰, 아동간호학회지 제16권제1호, 30-40
손해경, 송효빈, 김동희. (2018). 만성 알레르기 질환 아동의 어머니 - 의료진 간 파트너십이 어머니의 아동 상태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4(1), 101-108.
최애란,김진선. (2014). 소아청소년과 외래를 방문한 부모들의 발열공포와 관련요인,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0, No.2, 113-122
질병관리본부. (2016.12.29.). 천식. Retrieved from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2420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학 기관지 천식 케이스 스터디”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간호 CASE STUDY_잠복고환, 모유수유 (0) | 2023.09.14 |
---|---|
성인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ALS) 케이스 (0) | 2023.09.14 |
폐렴 케이스/ Pneumonia case/ 소아과실습케이스/ CASE STUDY/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 문헌고찰 (0) | 2023.09.14 |
성인/케이스스터디/퇴행성골관절염/무릎관절치환술 (0) | 2023.09.13 |
제2형 양극성장애 CASESTUDY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불면증, 무력감) (0) | 2023.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