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영화 돈워리 CASE(문헌고찰+간호사정+간호진단6개+간호과정<알코올 금단과 관련된 불안>1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영화 돈워리 CASE(문헌고찰+간호사정+간호진단6개+간호과정<알코올 금단과 관련된 불안>1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임상적 특성
4. 치료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Assessment)
2. Nursing Process

 

본문내용일부

Ⅰ.문헌고찰
1. 정의
-DSM-Ⅳ에서는 물질관련장애를 개인이 기분이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선택하는 물질뿐만 아니라 물질로 유발된 상태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하여, 알코올을 포함한 약물남용의 섭취와 관련되는 장애, 투약의 부작용과 관련되는 장애, 독소 노출과 관련되는 장애 모두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2. 원인
1)생물학적 모형
(1)유전: 알코올 중독자의 자녀군이 비중독자 자녀군에 비해 정신과적 문제와 음주문제가 의미있을 정도로 높게 나타났으며, 일단성 쌍생아의 경우 알코올 중독자가 될 위험률은 60%이상이며, 이란성쌍생아의 경우 30% 이하로 보고된다.
(2)신경화학적: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dopamine, serotonin, GABA, norepinephrine, acetylcholine 생성이 증가되면서 흥분이나 자극 반응이 일어나고 쾌락을 유발한다.

2)정신사회적 원인
(1)심리적 이론: 약물은 시기심, 공황발작, 수치심, 격노감 등을 마비시키고 무감각하게 만든다. 중독자들은 위기를 해결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또한 만족된 욕구 충족이 어려운 의존적 성격이나 부적격 인격자, 자존감이 낮은 개인들이 통제감이나 불안을 경감하기 위해 물질을 사용하게 되며, 약물을 통해 더 많은 자신감을 찾고자 한다.
(2)가족 이론: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자녀는 어려움에 처하여 분화 및 개인적 정체감 형성이 어렵고 가족 내에서의 경계가 혼돈되어 있고 외부와의 상호작용도 단절되어있다. 이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알코올 중독 사정에서의 성장경험이 만성적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불안, 분노, 수치심, 두려움 등을 느끼며 신뢰감의 결여로 친밀한 관계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과도한 책임감으로 즐거움을 경험하지 못한다.
(3)사회학습 이론: 각 개인이 물질을 사용할 것인지 하지 않을 것인지는 현재 및 미래의 보상이나 징벌에 달려있다. 물질 사용에 대한 태도나 지식은 학습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는 직접적인 물질에 대한 강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참고문헌

한금선 외(2017), 정신건강간호학 상,하 수문사.
돈워리(2019), 구스 반 산트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8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영화 돈워리 CASE(문헌고찰+간호사정+간호진단6개+간호과정<알코올 금단과 관련된 불안>1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