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폐렴 케이스/ Pneumonia case/ 소아과실습케이스/ CASE STUDY/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 문헌고찰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폐렴 케이스/ Pneumonia case/ 소아과실습케이스/ CASE STUDY/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 문헌고찰”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환자소개
2) 질병 기술- 폐렴(Pneumonia)
3) 기간 및 방법
4) 자료수집
5) 간호진단 및 중재
6) 결론 및 제언 (느낀점)
7) 참고 문헌

 

본문내용일부

1) 환자소개
환자명
김OO
나이(출생년월일)
3세
성별
M
의학적 진단명
주진단: 상세불명의 폐렴
입원일
2021.11.18~2021.11.22'
질병과정
내원 3일 전부터 fever/cough/sputum 증상이 있었고 내원 전일 증상 악화되어 응급실 내원하여 symtomatic treatment(대증요법)하고 퇴원하신 분으로 further evaluation and management(추가평가 및 관리)위해 금일 외래 경유하여 입원

2) 질병 기술- 폐렴(Pneumonia)

정의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다. 코와 입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를 거쳐 폐포로 들어가는데 이 때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균이 기도를 거쳐 폐에 들어가면 염증을 일으키는 것이 폐렴이다. 폐렴은 감기나 기관지염의 합병증으로 걸리는 경우가 많다. 우리가 흔하게 걸리는 감기는 비강에서 후두까지인 상기도에 생긴 염증을 말하고 기관이나 기관지 등 하기도에 염증이 생기면 기관지염이며 폐렴은 증상이 심해져 폐포까지 염증이 퍼진 상태를 의미한다.

병태생리
폐렴은 폐의 분절 또는 폐엽에서 경화가 발생하는 대엽성폐렴이나 기관지 주위에 널리 반점(patch)이 퍼지는 기관지폐렴으로 진행될 수 있다.
염증은 간질강과 폐포, 세기관지에서 발생한다. 발병과정은 병원체가 기도점막을 침입하고 폐포에서 번식하면서 시작된다. 세균이 번식한 부위에 수분과 삼출물이 고이고 다른 감염 증상들이 나타난다. 백혈구가 폐포 내로 이동하여 폐포벽이 두꺼워지며 적혈구와 섬유소가 폐포 내로 들어온다. 액체가 폐포를 채우면 세균은 식균작용을 피할 수 있으며 이 액체는 세균을 쉽게 다른 폐포로 이동하게 만들어 감염을 확산시킨다. 만약 병원체가 혈관으로 들어가면 패혈증(septicemia)이 되고, 감염이 흉막강으로 확장되면 농흉(empysema)이 발생한다.

<중 략>

4) 자료수집
(1) 일반적 특성
➀ 현재 생활 상태
-가족관계상 특이사항 : 없음
-동거가족 : 부모
-가계도(가족 질병유무는 가계도에 표시)
- 간호제공자: 김00의 어머니 - 환자와의 관계: 모

 

참고문헌

차영남 외 4명,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2013
Meg Gulanick 외 2명,『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5
서울대병원 의학정보, “폐렴”,
하영수 외(2018). 아동청소년간호학 Ⅱ. 서울: 신광출판사
조경환 외(2013년), 라켈 가정의학, 출판지: 엠디월드
김미예 외(2011년), 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출판지: 군자출판사
방경숙 외 16명(2014년). 아동간호학. 출판지: 정담미디어
송경애 외(2014), 최신 기본간호학(하), 출판지: 수문사
송경애 외(2014), 최신 기본간호학(상), 출판지: 수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diarrhea”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폐렴 케이스/ Pneumonia case/ 소아과실습케이스/ CASE STUDY/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 문헌고찰”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