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성인/케이스스터디/퇴행성골관절염/무릎관절치환술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케이스스터디/퇴행성골관절염/무릎관절치환술”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전무릎관절치환술

Ⅱ.대상자 사정
1. 일반적 사항
2. 간호력
3. 치료 및 경과
4. 신체사정
5. 진단검사
6. 투약 약물

Ⅲ.간호과정
1.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Acute pain)
2. 자가관리와 관련된 불안(Anxiety)

Ⅳ.참고자료

 

본문내용일부

Ⅰ.문헌고찰
퇴행성 골관절염(Degenerative Osteoarthritis)

1. 정의
관절염의 가장 흔한 형태로 활막관절의 만성적인 진행성, 비염증성 관절질환이다.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난다. 뼈의 관절면을 감싸고 있는 관절 연골이 마모되어 연골 밑의 뼈가 노출되고, 관절 주변의 활액막에 염증이 생겨서 통증과 변형이 나타난다. 발생하게 되면 계속 진행되는 퇴행성 질환으로 관절이 아프고 경직되는 증세가 나타나며 처음에는 움직일 때에 한해 통증이 느껴지만 만성이 되면 지속적으로 통증이 나타난다. 특별한 기질적 원인 없이 발생하는 일차성 관절염과 관절 연골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외상, 질병 및 기형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이차성 관절염으로 분류할 수 있다. 어느 관절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양측성이 아닐 수 있다. 고령일수록 잘 발생하지만 나이가 든다고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은 아니다.

<중 략>

Ⅲ.간호과정
#1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Acute pain)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수술한 부분이 너무 아파요.”
“진통제가 들어가고 있는게 맞나요?”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Lt. TKR 시행(11/2)
맑은 황색의 관절액
knee tenderness (+)
sensory intact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Acute pain)
: 실재적이거나 잠재적인 조직손상과 관련되거나 이런 손상을 기술하는 불쾌한 감각과 감정적 경험으로, 경한 수준에서 심한 강도까지 급성 또는 천천히 발생하며, 끝이 예상되거나 예견되는데 기간이 3개월 미만인 것

간호목표(Expected Outcme)
장기목표
1. 다음 수술(11/16) 전까지 수술 부위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1. 3일 이내에 NRS 통증척도가 4점 이하로 감소하고 이를 유지한다.

 

참고문헌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9판)1,2, 수문사, 2019
박금주 외,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2019
정운화, 하용찬, 이정수, 고도굴곡 후방십자인대 대치형 인공슬관절 전치환술 후 관절운동 : 최소 3년 추시, 대한정형외과학회지, 42(1), 2007
강승백, 슬관절 전치환술의 운동학, 대한슬관절학회, 22(4), 2010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828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71&cid=51007&categoryId=51007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케이스스터디/퇴행성골관절염/무릎관절치환술”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