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수술실 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수술실 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일반적 정보
2. 문헌고찰 (수술 및 질환에 대한 조사)
3-1 수술 전 간호
3-2 수술 전 투약
4. 수술 중 간호기록
5. 수술과정
6. 수술 시 간호사의 역할
7. 봉합사의 종류와 특징

 

본문내용일부

1. 정의 : C/Sec은 외과적 수술에 의한 분만이며, 산모의 복부를 한 번 절개하고 자궁을 또 한 번 절개한다. 아기가 자궁 안에서 충분히 발달할 시간을 주기 위해 일반적으로 39주 이전에는 제왕절개를 하지 않고, 가끔 합병증이 발생하여 39주 이전에 제왕절개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2. 이유 : 제왕절개는 일반적으로 임신 합병증으로 인해 전통적인 질 분만이 어렵거나, 산모나 아기가 위험에 처할 수 있을 때 실시된다. 제왕절개는 미리 계획할 수도 있지만, 분만 중에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에 시행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어떤 산모들은 분만과 진통을 피하거나 있을 수 있는 합병증을 피하려고 첫 아이의 출산에서 제왕절개를 선호한다.

3. C/Sec의 5대 적응증
1) 아두골반 불균형 (Cephalopelvic disproportion)
- 아두 골반 불균형은 아두의 조건과 모체 골반의 크기와 모양이 서로 맞지 않아 질식 분만이 불가능한 상태로서 아두가 너무 크거나 모체의 골반이 너무 작아서 분만 시에 아두하강이 어렵고 아두가 골반을 안정되게 통과할 수 없다.
2) 과거 제왕절개분만경험 (Previous Cesarean section)
- 자궁파열의 위험 증가.
3) 아주 심한 자간전증 (Very Severe Preeclampsia)
- 임신중독증의 일종으로서, 임신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생기는 임신특유의 질환.
임신 중기 이후에 부종 ·단백뇨 ·고혈압 ·경련 등을 주 증상으로 하는 질환을 총괄해서 말한다.
4) 전치태반이나 태반조기박리 (Placenta previa or abruptio placenta)
- 전치태반: 태반의 대부분 또는 일부가 자궁협부, 즉 자궁경부에 부착해 자궁구를 덮고 있는 것. 증세는 무통성인 자궁외출혈로서, 출혈이 심할 때 이를 방치해 두면 모체는 출혈성 쇼크상태에 빠질 수 있고 태반이 자궁구를 막고 있는 전치태반의 경우, 진통이 시작되면서 태반이 아기보다 먼저 밖으로 나와 위험한 상태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

 

참고문헌

원광대학교 병원 EMR, 구글 이미지 검색, 황옥남 외(2017), 제 7판 성인간호학 상권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수술실 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