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뇌경색 케이스 스터디, 뇌경색 간호과정”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문헌 고찰
2. 간호사정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정의
목부분에 있는 경동맥, 척추-기저동맥에서부터 우리 뇌 안의 아주 작은 직경의 동맥까지 어디서든 혈관이 막힐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함으로써 지속적인 증상이 남게 된다.
뇌조직은 평상시에도 많은 양의 혈류를 공급받고 있다. 그런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뇌혈관에 폐색(혈관 등을 이루는 관이 막히는 경우)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뇌혈류 감소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조직이나 세포의 일부가 죽는 것)가 시작된다. 뇌조직이 괴사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이를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이라고 한다.
→ 뇌혈류가 차단되면 뇌조직이 허혈성 괴사에 빠짐
2. 종류
① 허혈성 뇌경색
- 죽상동맥경화로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힌다. 따라서 흘러갈 피가 모자라고 이어서 산소가 모자라서 뇌 조직은 죽는다. 대체로 병이 계속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대개 환자는 나이가 많고 고혈압이나 당뇨병, 동맥경화로 인한 심장병이 있는 경우가 많다. 뇌출혈과는 달리 조용히 쉬고 있을 때나 잠잘 때에 잘 생긴다.
② 색전성 뇌경색
- 죽상동맥경화가 있는 동맥의 혈전에서 떨어져 나온 조각(색전)이 뇌혈관을 따라 흘러가다 덜커덕하고 걸려서 동맥을 막기 때문에 그 아래의 뇌 조직이 죽는다. 따라서 동맥의 끝부분인 큰골의 피질에 잘 생기고 또 여러 군데에 동시에 생기는 수가 많고 부분적으로는 핏줄이 터지기도 한다. 피가 제일 많이 가는 중대뇌 동맥에 흔하다. 색전이 뇌혈관의 죽상동맥경화에서 떨어져 나올 수도 있고 멀리는 심장(심방 세동, 급성 울혈성 심부전, 심장 판막 질환, 심내막염 등)에서도 온다.
③혈류 역학적 뇌경색
- 죽상 경화에 의해서 혈관이 전체적으로 좁아지거나 막히면 또는 어떤 원인으로 전체적인 뇌의 피 순환이 감소하면(저혈압, 심한 출혈 등) 뇌 중심의 커다란 혈관에는 피가 어느 정도 가지만 각각 큰 동맥의 변두리는 피가 모자란다. 이때 생기는 변두리의 뇌경색을 말한다.
참고문헌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I, 수문사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성미혜 외,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2019
편집부, 간호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드러그인포, (http://druginfo.co.kr)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종합검진 결과해석
서울아산병원의료정보, [뇌경색]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뇌경색 케이스 스터디, 뇌경색 간호과정”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 (0) | 2023.09.08 |
---|---|
여성건강간호학 전치태반 case study. placenta previa 간호진단5개 간호중재2개 (0) | 2023.09.08 |
복부대동맥류 케이스 진단부터 평가까지 상세한 간호과정 3개 (0) | 2023.09.08 |
성인간호학 기흉케이스 (0) | 2023.09.08 |
정신건강간호실습 양극성정동장애 케이스스터디 (0) | 2023.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