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고혈압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고혈압”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고혈압 정의

2. 고혈압 발생원인
(1) 본태성 고혈압 원인
(2) 2차성 고혈압 원인
(3) 그 밖의 원인

3. 고혈압 증상과 징후

4. 고혈압 합병증

5. 고혈압 치료법
(1) 식이요법
(2) 생활습관 교정
(3) 약물요법

6. 고혈압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케이스
(1) 케이스 1
- 간호진단
- 결과
- 간호중재
(2) 케이스 2
- 간호진단
- 결과
- 간호중재

7.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고혈압 정의

고혈압이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말하며 남성의 경우 45세 이전 연령에서는 여성보다 더 많이 발생하며, 여성의 경우 64세 이후에는 남성보다 더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고혈압은 전 세계적으로 심부전, 신부전, 뇌졸중, 관상동맥 질환 및 말초혈관 질환 발생의 주요한 위험인자로서 인정되어 적극적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2. 고혈압 발생원인

(1) 본태성 고혈압 원인
· 원발성 혹은 원인불명
· 유전, 호르몬 변화, 교감신경 흥분

(2) 2차성 고혈압 원인
▸콩팥의 원인
- 만성 신장질환 : 만성 사구체 신염, 신우신염, 다낭포성 콩팥병, 콩팥의 콜라겐 질환, 폐쇄성 비뇨기 질환
- 콩팥혈관장애 콩팥동맥 협착증
▸부신과 내분비 원인
- 쿠싱증후군, 장기간 스테로이드 치료,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갈색세포종, 갑상샘이나 부갑상샘 질환
▸기타
과다한 음주, 경구용 피임약, 코카인, 기타약물, 두부손상이나 뇌종양, 임신성 고혈압, 대동맥 협착증

(3) 그 밖의 원인
비만, 경구용 피임약 사용, 포화지방의 과다섭취, 과다한 염분 섭취, 흡연, 과다한 음주, 스트레스, 임신, 대동맥 협착증, 코카인, 기타 약물, 두부손상이나 뇌종양
3. 고혈압 증상과 징후

고혈압은 흔히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는 데서 알 수 있듯이 고혈압은 뇌, 심장, 콩팥을 포함한 종말 기관의 심한 손상이 발생될 때까지 무증상인 경우가 많다
증상이 없을 경우 다음 원인에 따라 나눌 수 있다.

- 혈압 상승 자체에 의한 증상 : 두통, 현기증, 두근거림, 전신 쇠약감, 발기불능
- 고혈압성 혈관병증에 의한 증상 : 코피, 혈뇨, 시력저하, 뇌허혈에 의한 사지쇠약과 현기증, 협심증, 심부전에 의한 호흡곤란
- 이차성고혈압의 증상 : 고칼륨혈증에 의한 근쇠약증, 쿠싱증후군에 의한 체중증가, 심리적 불안정, 갈색세포종에 의한 발작성 두통, 두근거림, 발한, 기립성 현기증 등

 

참고문헌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김금순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윤은자
알기쉬운 임상약리학, 정담미디어, 김수경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고혈압”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