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여성건강간호학 전치태반 case study. placenta previa 간호진단5개 간호중재2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여성건강간호학 전치태반 case study. placenta previa 간호진단5개 간호중재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2. 정의 및 병태생리
3. 원인
4. 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Ⅲ. 사례 보고서
1. 간호정보조사지
2. 대상자 및 태아 상태
3. 진단검사
4. 특수검사
5. 투여약물
6.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전치태반이란 태반이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것으로, 자궁하부에 부착되어 자궁경부를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전치태반은 임신 후반기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분만 전, 후에 심각한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전치태반은 위치에 따라 minor 등급 ①②, major 등급 ③④ 총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① 하위태반(low-lying placenta) : 태반이 자궁 아래 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태반의 끝이 실제로 자궁경부내구에 닿지 않고 매우 근접해 있는 경우
② 변연전치태반(marginal placenta previa) : 태반의 끝부분이 자궁경부 내구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경우
③ 부분전치태반(partial placenta previa) : 자궁경부 내구가 부분적으로 태반에 의해 덮인 경우
④ 전전치태반(total placenta previa) : 자궁경부 내구가 태반에 의해 완전히 덮인 경우

전치태반은 유착태반(placenta accreta, 출산 후 자궁과 태반의 분리가 잘 일어나지 않는 것), 감입태반(placenta increta, 태반융모가 자궁근층을 침입한 경우), 침투태반(placenta percreta, 태반융모가 자궁근층을 침입하여 뚫은 경우) 등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고, 전치태반의 7%에서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유착태반이 동반될 수 있다.
태반이 자궁경부 내구에 걸쳐진 경우, 자궁하절부에 형성되고 경관 내구가 벌어져 태반 부착 부위의 혈관이 찢어지면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자궁하절부의 근섬유는 잘 수축하지 못하기 때문에 찢어진 혈관이 충분히 압박되지 못해 출혈이 더 심해질 수 있고, 같은 이유로 인해 태반 만출 후 지속적인 출혈이 있을 수 있다.
임신 중반기 이전에 태반이 아래쪽으로 내려와 있는 경우 자궁이 늘어나면서 태반이 위쪽으로 올라가는 경우가 있지만, 태반이 자궁 입구를 덮고 있는 경우에는 전치 태반이 지속되게 된다. 전치태반으로 인한 출혈은 모성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태아의 경우 조산으로 인한 사망의 위험이 크다.

 

참고문헌

1. 박영주 외/여성건강간호학Ⅱ/현문사/제 5판
2. 대한산부인과학회/https://www.ksog.org/public/index.php?sub=1&third=6
3. KIMS/http://kimsonline.co.kr/
4. NANDA 간호진단 중재 가이드/현문사
5.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tList.do?CONT_CLS_CD=001020001013
6.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7. 고려대안산병원 산부인과/http://guro.kumc.or.kr/dept/disease/deptDiseaseInfo.do?DP_CODE=ASOG&MENU_ID=00400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여성건강간호학 전치태반 case study. placenta previa 간호진단5개 간호중재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