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화상 케이스, 화상 케이스스터디, 피부통합성 장애, 급성통증”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의의
3. 연구의 목적
Ⅱ. 문헌고찰
1. 정의와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합병증
5. 협동적 관리
6. 간호
Ⅲ. 간호 과정
1. 사정(건강력, 신체검진 및 검사결과)
2.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Ⅳ. 결론 및 제언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연구의 필요성
원시시대부터 불은 인간의 필수적인 생활수단이었다. 산업이 발달한 현대사회에서 외상 중 화상이 차지하는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케이스 대상자는 비록 열 화상이 아닌 마찰 화상으로 입원하였지만, 증가하는 빈도에 따라 화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되어 이번 케이스의 주제를 화상으로 잡았다. 화상은 주로 열에 의해 피부와 피부 부속기에 생긴 손상을 의미한다. 발생하는 화상의 약 90% 정도가 뜨거운 액체나 물건, 화염, 일광 등에 의해 생긴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급여 청구한 실환자 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평균 연간 화상 발생 수는 472,404명으로 나타났으며, 연도별 화상 환자 수는 점차 많아지는 추세로 2005년 414,805명에서 2009년 541,889명으로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상 환자의 발생률은 평균 인구 약 4,800만 명 대비 984명(인구 10만명당)이었다. 그 중 15세 이하의 소아 화상의 발생은 2005~2009년 동안 연간 평균 138,000명이 발생하였으며, 점차 그 수가 증가하여 전체 화상 환자의 29.2%를 차지하였다. 매년 화상 환자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으며 화상은 언제든지 우리에게 혹은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실습 병동인 외과 병동에 화상 환자는 한 명 뿐이기에 흥미가 생겨 ‘화상’을 본 연구의 주제로 정하게 되었다.
2. 연구의 의의
현재 화상 환자의 비율이 늘고 있는 만큼, 해당 증상에 대한 치료와 의학기술의 발전, 더 많은 연구와 관찰 그리고 예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간호학과 학생으로서 화상 환자에게 제공할 간호를 공부하고 실제로 실습해 볼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되며, 이를 본 연구의 의의로 두었다.
3.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2021년 8월 27일 화상 부위 통증(back pain)을 주 호소로 본 병원의 외래를 통해 해당 병동에 입원하여 2도 화상을 진단받은 ○○○님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참고문헌
[질병관리청-화상]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203090000
[네이버 지식백과] 화상 [burn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20069&cid=51007&categoryId=51007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MSD 매뉴얼 일반인용]
https://www.msdmanuals.com/ko/%ED%99%88/%EB%B6%80%EC%83%81-%EB%B0%8F-%EC%A4%91%EB%8F%85/%ED%99%94%EC%83%81/%ED%99%94%EC%83%81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20069&cid=51007&categoryId=51007&anchorTarget=TABLE_OF_CONTENT4#TABLE_OF_CONTENT4
[간호학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84292&cid=60408&categoryId=55558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19941&cid=51004&categoryId=51004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7
[현장실습지침서] 92 page ~ 97 page
[화상 환자의 미오글로빈 수치의 임상적 의의-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교실]
https://www.jtraumainj.org/upload/pdf/19400002.pdf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 수문사] 247page ~ 340page
[서울아산병원-소양증]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477&tabIndex=0
[성인간호학2 아홉 번째판 – 수문사] 1638 page ~ 1665 page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화상 케이스, 화상 케이스스터디, 피부통합성 장애, 급성통증”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현병 케이스 (0) | 2023.01.27 |
---|---|
아동간호학실습 소아병동 크루프(croup)케이스 (0) | 2023.01.20 |
대상포진 환자 케이스 스터디 (0) | 2023.01.20 |
아동간호학 모세기관지염 case study (0) | 2023.01.20 |
아동간호학 황달케이스 (0) | 2023.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