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학 황달케이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신생아에게서 황달은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사라지지만 수치가 높을수록 신경계에 영향을 끼쳐 핵황달로 이어져 청력 장애, 뇌성마비 등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 질환으로 신생아 황달에 대한 지식과 사례연구를 통해 간호중재 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택하였다.
Ⅱ. 본론
◎ 문헌고찰
1. 정의
황달은 혈액 속의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하여 피부에 빌리루빈이 축적되어 신생아의 피부와 눈 흰자위의 색이 노랗게 변하는 것을 말한다.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로 황달을 나타내는 질환을 총칭하며, 생후 첫 주내에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할 수 있다.
1) 생리적 황달(일시적 황달)
생리적 황달은 출생 후의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생후 첫 24시간 이후에 나타나 생후 7~10일경에 사라진다.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으며, 별다른 치료없이 사라진다. 너무 오래 지속되거나, 수치가 높은 경우 병리적 황달로 이어질 수 있다.
2) 병리적 황달
병리적 황달은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가 15mg/dL 이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합병증을 일으키기 쉽다.
2. 병태생리
빌리루빈 대사 과정: 적혈구 속 헤모글로빈(hemoglobin)은 헴(heme)과 글로빈(globin)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명을 다한 적혈구는 비장이나 골수, 간 등에서 파괴되는데, 이때 헤모글로빈에서 헴이 분리되어 나온다.
↓
헴은 대사 과정을 거쳐 간접빌리루빈(비결합빌리루빈)으로 전환된다.
↓
간접빌리루빈은 혈액을 따라 간으로 이동한다.
↓
간에서 glucuronyl transferase 효소의 작용으로 간접빌리루빈에서 직접빌리루빈(결합빌리루빈)으로 전환된다.
↓
직접빌리루빈은 간세포를 빠져나와 담관으로 배출되어 담즙의 형태로 소장과 대장을 거쳐 소변, 대변으로 배출된다.
-> 황달은 빌리루빈이 배출되지 않고 체내에 축적되어 발생한다.
참고문헌
방경숙 외(2018). 아동간호학 2판. 학지사메디컬.
정향미 외(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사진: 서울아산병원 (2022. 1. 06)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22
소철환 외. Anti- JK 항체 부적합증에 의한 신생아 용혈성 황달 1례. 2012
드러그 인포 (2022. 1. 10)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학 황달케이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상포진 환자 케이스 스터디 (0) | 2023.01.20 |
---|---|
아동간호학 모세기관지염 case study (0) | 2023.01.20 |
아동간호학 케이스 세균성 뇌수막염(bacterial meningitis) (0) | 2023.01.19 |
성인간호 경추골절 케이스 (0) | 2023.01.18 |
노인간호학실습케이스 (0) | 202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