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실습 소아병동 크루프(croup)케이스

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학실습 소아병동 크루프(croup)케이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사례로 채택하게 된 동기

Ⅱ. 환아의 전반적 질병의 과정 요약
1. 주요 증상
2. 증상발생부터 입원 현재까지의 질병과정에 대한 요약 진술

Ⅲ. 문헌고찰
1. 성장발달 단계별 평균달성 기준과 대상아동과의 비교(요약할 것)
2. 사례 아동의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참고문헌을 명시할 것)

Ⅳ. 간호과정

Ⅴ. 결론 및 제언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미국의 연구에서 연간 약 2만 명에서 6만 명가량의 환아들이 크룹으로 입원치료를 받으며, 이로 인해 한해 약 800억 원의 의료비용이 소요된다. 사망률은 3만명 당 1명 정도로 높지 않으나 입원하는 환아의 1~3%는 집중치료실 치료와 기계 환기가 필요하다. 크룹의 호발연령은 주로 유소아에서 발생하며 5세 미만의 환아가 90%가량을 차지하고 특히 1세에서 2세 사이가 가장 많으며 6개월 미만은 드물다. 성별은 남아 1.4배에서 1.9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아동에게 흔하게 유발되는 크룹의 병태생리, 원인과 증상 등에 대해 이해하고 크룹환자의 전반적인 간호관리와 건강문제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아동에게 나타난 간호문제를 도출해내며 그에 따른 간호과정을 적용시켜 실제적인 간호를 파악하고 수행하기 위함이다.

2) 사례로 채택하게 된 동기
소아과 아이들의 질환들을 살펴보니 폐렴, 급성 기관지염, 급성인두편도염, 크루프 등 대부분이 호흡기 질병이었다. 호흡기 질환 중에서도 한 번에 뜻을 알기 어렵고, 가장 눈에 띈 질환이 크루프였다.
또한 보호자가 정보수집에 적극적으로 응답해 줄 것 같아 크룹 환아를 집중적으로 연구해보고 싶은 동기가 생겼다.

II. 환아의 전반적 질병의 과정 요약
1) 주요 증상
개기침, 쉰목소리, 고열, 구토, 천음, 콧물, 가래

2) 증상발생부터 입원 현재까지의 질병과정에 대한 요약 진술
onset : 3/31 2PM 부터 39°C 이상의 고열 시작, 새벽부터는 barking cough, hoarseness 동반되어 타병원 내원하여 B형 독감 진단 받았으며, 발열 지속되어 4/1 외래 통해 입원함.
4/1(HD#1) : 입원당시 fever(+) 40.5°C, chill(+), cough(+), sputum(+), rhinorrhea(+), poor oral intake(+), lethargy(+), coarse bowel sound with stridor(+)

 

참고문헌

김미예 외(2011). 아동건강회복간호: 수문사
송경애 외(2015). 기본간호학(상) ,수문사
송경애 외(2015). 기본간호학(하) ,수문사·
송경애 외(2015).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질병관리본부>건강질병검색>크룹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건강백과 > 크루프 > 질병/증상
의약품사전
소아 크룹 환자들의 원인 바이러스에 따른 임상 양상과 입원 경과 비교. (2018). 최보금, 최희정, 김가은, 신석원.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학실습 소아병동 크루프(croup)케이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