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모세기관지염 case study

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학 모세기관지염 case study”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A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 모세기관지염(Bronchiolitis)
B. 자료수집
C. 간호과정
D.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A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 모세기관지염(Bronchiolitis)
1. 정의
세기관지의 염증을 말한다.

2. 원인과 발생빈도
보통 1세 미만의 어린 영아에게 경한 호흡기질환이 있는 유아나, 성인 특히 가족구성원이나 돌봄자와의 접촉을 통해 발병한다. 모세기관지염의 50% 이상에서 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가 감염원이다. RSV는 주로 오염된 표면의 접촉을 통해 감염되는데, 피부나 종이, 침대가 그 예시이다. 비말감염은 아니지만 감염력이 높아 손씻기를 통해 균의 전파를 감소시켜야 한다. 소아과에서의 병원감염도 흔하다. RSV 감염은 겨울과 초봄 사이에 해마다 유행성 감염병으로 발생한다. 생후 6개월에 발병률이 가장 높다. RSV 외에 다른 균으로는 mycoplasma, parainfluenza, adenovirus가 있다. 2세가 되면 거의 100% 면역력이 생기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병률과 중증도는 낮아진다.

3. 병태생리
보통 RSV에 의한 상기도 감염이 일어나면 부종, 점액과 세포조직 파편이 세기관지를 폐쇄한다. 영아의 경우 세기관지가 매우 좁아 갑자기 폐쇄될 수 있다. 좁은 공기통로로 인해 흡기와 호기 중에도 기도 저항이 증가한다. 이후 세기관지 호기 동안 수축하여 폐의 과팽창을 유발한다. 결국 세기관지가 완전 폐쇄되고 폐색공기가 흡수되면 무기폐가 초래된다. 정상적인 가스교환에 장애가 발생하면 저산소혈증 상태가 된다.

4. 증상
경한 상기도감염이 선행된다. 비분비액과 코훌쩍임, 미열, 식욕부진이 수일간 나타난다. 또한 빈호흡과 빈백, 천명음과 마찰음 또는 나음, 비익확장, 늑간과 늑골하 견축, 청색증 등이 증상을 보인다. 호흡수의 증가로 빨고 삼키는 것이 방해받아 수유가 어러울 수 있다. 체온은 저체온부터 고체온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증상 발현 후 48-72시간 동안 가장 아프며 보통 며칠 후 호전된다.

5. 진단검사
임상소견과 아동의 나이가 주요 단서이다. 흉부 방사선검사에서는 폐의 과팽창과 측면 소견상 흉부의 전후 지름의 증가가 보인다.

 

참고문헌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상권, 박호란 외, 현문사, 2019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하권, 박호란 외, 현문사, 2019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학 모세기관지염 case study”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