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학 케이스 세균성 뇌수막염(bacterial meningitis)”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임상증상
5) 치료 및 간호
2. 간호 사정(Nursing Assessment)
1) 일반적 정보 및 환자 간호력
(1) Identifying information
(2) 건강력
2) 개인 사회력
(1) 가족구성원
(2) 현재 건강습관
3. 간호과정
#1. 복합적 요인(고열, 두통)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관류의 위험(risk for ineffective cerebral tissue perfusion)
#2. 복합적 요인(통증, 질병 및 치료과정, 낯선 환경)과 관련된 불안(Anxiety)
Ⅲ. 출처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적 및 대상자 선정 동기
뇌수막염은 1개월에서 5세 사이의 아동에게 가장 호발하지만 어느 연령에서도 발병이 가능하다. 뇌수막염 중 세균성 수막염은 높은 사망률과 심각한 신경학적 합병증을 초래한다. 아동들은 나이에 따라 세균성 뇌막염을 유발하는 원발성 병원체가 다양하다.
본 사례는 학령전기 아동 중 화농성 뇌막염을 유발하는 3가지 균(Hemophilus influenzae type B, Neisseria meningitidis, streptococcus pneumoniae)에 의해 발생한 뇌수막염 사례연구를 통해 질병을 완전히 이해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통해 아동의 건강을 증진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정의
중추신경계로 침범한 병원체가 독성반응을 일으켜서 뇌막에 염증이 발생한 것으로 원인에 따라 세균성, 바이러스성, 진균성 뇌수막염 등으로 나뉜다.
2) 병태생리
뇌수막염은 일반적으로 거미막과 연질막 사이에 존재하는 거미막밑 공간(subarachnoid spcae, 거미막하공간)에 염증이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을 말한다. 거미막밑공간에 바이러스나 세균이 침투하여 발생하며 특정 화학 물질에 의한 염증, 암세포의 뇌척수액공간으로의 파종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 등이 있다. 뇌수막염으로 인해 경막하강에 농이 축적되면 두내압이 증가하고 뇌실까지 전파되면 뇌실주위조직의 손상과 부종으로 뇌척수액 흐름이 폐쇄되면서 수두증을 가져올 수 있다.
3) 원인
①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비말이나 접촉을 통해 코와 입에서 뇌로 이동하여 염증 발생
장바이러스 (enterovirus),콕사키바이러스A,B(coxachievirus A,B), 에코바이러스 (echovirus), 볼거리바이러스 (paramyxovirus), 헤르페스바이러스 (herpes virus) 등이다.
② 세균성 뇌수막염
a. 신생아: B군 연쇄상구균 (Group B Streprococcus), 대장균 (Escherichia coli), 리스테아리아균 (Listeria monocytogenes)
참고문헌
대한소아신경학회, https://www.cns.or.kr/kcns/board/view.do?cmnx=26&idx=19
김붕년(2007), 소아-청소년기 불안 장애, 소아-청소년 정신과
성미혜 외(2013)- 학령전기 아동의 그림 동화책 제공이 편도선 수술 후 통증 및 치료이행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제19권 제1호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https://nip.kdca.go.kr/irhp/infm/goVcntInfo.do?menuLv=1&menuCd=115
김형수(2006), 뇌수막염에서 발생한 뇌부종 치료에서 고장성 식염수 비교, 부산의료원 소아과
지은선외 (2019), 근거기반실무 중심의아동간호학 상/하, 현문사, p210-240
윤혜봉 외 통증 환아를 위한 비약물적 간호 중재 방법 조사. 아동간호학회지 제 6권 제2호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학 케이스 세균성 뇌수막염(bacterial meningitis)”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간호학 모세기관지염 case study (0) | 2023.01.20 |
---|---|
아동간호학 황달케이스 (0) | 2023.01.19 |
성인간호 경추골절 케이스 (0) | 2023.01.18 |
노인간호학실습케이스 (0) | 2023.01.18 |
상부 위장관 출혈 GI bleeding 간호과정 (0) | 202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