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상부 위장관 출혈 GI bleeding 간호과정”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 상부 위장관 출혈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2) 객혈과 토혈의 특징
3)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
2. 진단검사 확인
3. 투약 확인
4. 처치 및 간호 확인
5. 간호진단 도출
1) 출혈, 금식과 관련된 체액 부족 위험성
2) 혈액순환 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6. 간호과정
7.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문헌고찰
1) 상부 위장관 출혈 (UGI Bleeding)
- 정의
상부 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그리고 상부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말하는데, 피를 토하는 토혈이나 새까만 변을 보는 흑변의 형태로 나타나고 약 1,000cc 이상의 상부 위장관 출혈이 있으면 혈변이 나오게 된다. 서구에서 상부 위장관 출혈은 인구 1,000명 당 1명의 빈도로 발생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상부 위장관 출혈로 인한 사망률은 약 14% 정도인데, 고령이거나 다른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 사망률이 높다.
- 원인
· 소화성 궤양(peptic ulcer disease): 소화성 궤양 중 십이지장 궤양 출혈이 위 궤양 출혈보다 두 배 이상 흔하며 소화성 궤양에 의한 출혈은 겨울에 증가하고 여름에 감소한다.
· 역류성 식도염(reflux esophagitis)
· 식도정맥류 및 위정맥류(gastric varices)
· 말로리 웨이즈 열상(Mallory Weiss Syndrome): 알코올 중독 혹은 폭식증 환자들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질병으로, 반복적인 구토로 인해 식도의 점막이 찢어지며 출혈이 발생하게 된다. 토혈(hematemesis)이 항상 동반되며, 심각할 경우 식도에 천공(perforation)이 생기며 '부르하버증후군' 으로 발전하게 된다.
<중 략>
#1. 출혈, 금식과 관련된 체액 부족 위험성
S: "계속 피가 나와"
"기침할 때 토혈을 하며 피가 섞인 검은 변을 봐요."
O
· 8/24 크게 기침할 때 피 섞인 타액이 나옴(휴지 2×2cm)
·선홍색 혈액 구토(약 200ml)
· 사정 결과 식욕 나쁨, 오심, 구토 증상 있음.
· 사정 결과 혈변, 혈액성 구토 증상 있음
· 현재 금식 상태임.
· 8/24 진단검사 결과가 다음과 같음
(Hb, Hct, PT sec, Platelet, PT INR, PT, aPTT 수치와 정상수치 비교하여 적었음.)
· 8/24 활력징후 측정 결과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음.
BP▽ 105/70→100/68(mmHg) P△ 96→110(회/분) R△ 21→26(회/분) BT 36.3(℃)
· 8/24 방사선 검사 결과 간경화와 식도 말단부에 정맥류 소견이 있음.
참고문헌
간호학 핵심요약집 필통 성인간호학2 p189
http://www.ktas.org/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
KTAS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제공자 교육 매뉴얼 Version3, 2017 군자출판사
http://www.health.kr/ 약학정보원
http://www.hankookhospital.co.kr/ 혜인의료재단 한국병원 의학정보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상부 위장관 출혈 GI bleeding 간호과정”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 경추골절 케이스 (0) | 2023.01.18 |
---|---|
노인간호학실습케이스 (0) | 2023.01.18 |
성인간호 간경변증, 간성뇌증 케이스 스터디 Liver Cirrhosis case study (0) | 2023.01.16 |
appendicitis 케이스 스터디 (0) | 2023.01.16 |
정상분만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NSVD casestudy (0) | 2023.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