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유아교육- 문제행동이론”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문제행동의 의미
2. 문제행동 유형
3. 유아 문제 행동의 원인
1) 부모 변인
2) 유아 변인
3) 그 외의 변인
4. 문제행동 지도 원리
5. 지도 방법
본문내용일부
1. 문제행동의 의미
- 1950년 초→ 사회적 부적응이라는 용어 사용
- 50년대 후→ 프로이드의 심리학적 영향으로 정서 장애로 분류‘
- 1960년대 후기→ 문제행동이라는 용어 강조
• Ebel의 문제행동 정의
: 대다수에 의해 기대되거나 인정되는 행동으로부터의 이탈을 지칭
→ 개인이나 가족이나 학교, 기타 사회생활에서 행하는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 의미
2. 문제행동 유형
• Achenbach(1987)의 유아, 아동의 문제행동 유형
- 비사회적 공격적 행동 장애
: 싸우거나 남을 때리는 것, 반항, 위협, 시끄럽게 하는 것, 정직하지 못한 것 등.
- 사회화된 형태의 공격적 행동 장애
: 좋지 않은 친구를 사귀는 것, 가출, 다른 아이들과 같이 훔치는 일, 깡패 집단에 속하는 것 등.
- 주의력 결핍 장애
: 집중을 못하거나 몽상하는 것, 멍하니 있는 것, 숙제를 끝내지 못하는 것 등.
- 불안, 위축, 불행감
: 불안감, 부끄러움을 심하게 타는 것, 슬픔을 많이 타는 것, 열등감, 쉽게 좌절을 하는 것 등.
- 정신 분열성 또는 무반응
: 말하지 않는 것, 위축 반응 등
- 사회적인 부적절
: 타인과의 관계가 좋지 않거나 다른 사람으로부터 쉽게 놀림을 당하는 것 등.
- 정신병적인 장애
: 환각, 환청, 이상한 생각과 행동 등
- 과잉 행동
: 가만히 있지 못하고 지나치게 행동하는 것, 수선스러운 것, 충동적인 것 등
• 아동기 문제 행동의 범주
- 사회적 규범에서 이탈하며 다른 사람을 지속적으로 괴롭힐 경우의 문제→ 행동 문제
- 심각한 우울감, 불안, 그의 정서적 곤란이 반복 지속될 경우의 문제 행동→ 정서 장애
- 인지 능력, 신경 운동 발달이 정상이 아닌 경우의 문제 행동→ 발달 장애
3. 유아 문제 행동의 원인
- 환경적 요인과 유아 자신의 요인으로 나눠 볼 수 있음.
1) 부모 변인
- 유아의 문제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정의 인적인 환경이 큼
참고문헌
교육부(1999). (유아의 문제행동지도를 위한)부모교육자료
송의열(1999). 유아 문제 행동의 유형과 평가. 공주영상정보대학 학술저널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유아교육- 문제행동이론”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과 에릭슨 성격발달 8단계 설명 (0) | 2023.01.09 |
---|---|
자연과학 활동프로그램 사전과제 (0) | 2023.01.09 |
교의학의 이론과 실제 (0) | 2023.01.09 |
바람직한 미래 교사상에 대한 연구-비대면 시대, 개정 교육과정,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0) | 2023.01.06 |
지역 조직화를 통한 지역 내 비행청소년 문제 해결 (0) | 2023.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