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실습 - Gastroschisis 복벽개열증 CASE STUDY

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실습 - Gastroschisis 복벽개열증 CASE STUDY”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일반 정보
Ⅱ. 병력
Ⅲ. 질병 기술(disease description)
Ⅳ. 신체 검진
Ⅴ. 임상 소견
Ⅵ. 특수치료 및 검사
Ⅶ. 약물
Ⅷ. 간호과정
Ⅸ. 참고 문헌

 

본문내용일부

증상 및 징후
① 당뇨환자의 발에 생긴 작은 상처는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당뇨병이 진단되면 발에 대한 철저한 관리로 심각한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해야한다.
발에 병변이 많이 생기는 이유는 동맥경화증으로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 충분한 혈액을 보내 지 못하게 되고, 신경병증으로 인해 피부의 감각을 저하시켜 손상에 취약해지고 감염이 발생 하기 때문이다.
② 세균이 침입하면 급속히 퍼져나가 발가락이 썩어 가는 괴저(gangrene)가 발생한다.
당뇨성 족부괴저는 치료에도 잘 반응하지 않고 세균 감염이 점차 진행하여 발목이나 무릎을 절단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발병변의 증상과 징후 → 혈관계 : 차가운발, 휴식시 통증 – 말초맥박 소실, 발 올릴 때 피부 창백
신경계 : 저림감 및 통증, 근육 위축, 발한 감소 – 촉각, 진동감각 소실, 또는 감각과잉, 무릎 힘줄 반사소실
근골격계 : 발모양 변형,피부 상처, 궤양 – 관절 변화, 피부건조, 반 복감염
피부계 : 창백,발적,피부건조,각질층 증가,피부감염 – 각질화, 피부궤 양, 체모 감소, 손톱주위 염증
③ 비외상 다리절단의 50%는 당뇨병이 원인이며 그 반구 정도는 적절한 치료로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는 진찰 시에 발을 자세히 관찰해야 하는데 발등, 발목, 무릎 뒤등에서 맥박이 모두 잘 촉지되는지 조사해야하며 맥박이 잘 만져지지 않으면 발병변이 생길 위험서잉 높다.
④ 발이 변형되고 피부가 변화된 상태에서 걸어다닐 때 비정상적으로 체중이 부하되면 피부궤양 은 더욱 심해진다. 발에 생긴 피부궤양이 심한 통증을 동반한 경우에는 골수염의 가능성을 고 려해야 한다.

간호
발의 병변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발관리에 대한 환자교육이 중요하다.
발의 살처를 방지하기 위해 맨발로 다니지 말게 하고 혈액 순환에 장애를 주는 꼭 끼는 신발이 나 양말을 신지 않도록 해야한다. 시력이 나쁜 상채에서 발톱을 깎다가 상처를 줄 수도 있으므 로 주의해야 하고, 매일 더운물로 발을 깨끗이 씻고 완전히 건조시킨 후 발 구석구석을 점검해 야 한다.

 

참고문헌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 2, 수문사, 1567-1592
김조자 외(2014).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화정, 수문사
약학정보원 www.health.kr
ㅇㅇ대학교 CUBIS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실습 - Gastroschisis 복벽개열증 CASE STUDY”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