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실습 대장암 case study

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실습 대장암 case study"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사례연구
Ⅲ.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⓵ 대장의 구조와 기능
- 회장맹장판막에서 항문까지 연장되는 기관.
- 길이: 약 1.5m, 지름: 약 5cm
- 맹장, 결장, 직장 및 항문의 4부분으로 나누어진다.

1. 구조
1) Cecum(맹장): 대장의 첫 5~7.5cm 부분으로 회장맹장판막에서 회장과 연결되어 있다. 맹장이 이완되면 회장의 내용물이 맹장으로 들어온다. 맹장의 말단은 맹낭으로 Appendix가 붙어 있으며 복부의 RUQ에 위치해 있다.
2) Colon(결장): 결장은 Ascending colon, Transverse colon, Descending colon, Sigmoind colon으로 나뉜다. 결장은 소장보다 지름이 크고 융모가 없으며 점액을 분비한다.
3) Rectum & Anus(직장과 항문):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S자결장에서부터 항문까지 뻗어있으며 두 개의 괄약근(속괄약근, 바깥괄약근)이 항문의 개구를 조절한다. 항문개구부의 바깥부분은 피부주름으로 되어있고 안쪽 부분은 점막으로 되어 있어서 이 부위를 피부점막 경계부위라고 한다. 이 부위 아랫부분의 정맥은 대정맥으로 흘러간다. 자율신경계가 윗부분을 지배하고 체신경계가 아랫부분을 지배한다.

2. 주요 기능
1) 수분, 염화물 및 소듐을 흡수한다.
2) 유미즙의 양을 줄인다.
3) 장 박테리아는 몇 가지의 비타민 B군과 비타민 K를 합성한다.
4) 윤활제 역할을 하고 점막을 보호하는 점액을 분비한다.
5) 분변을 형성하여 배변 시까지 저장한다.
6) 신체로부터 대변을 배출한다.

⓶ Colorectal Cancer
1. 원인과 위험요인
1) 확실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50세 이상의 연령, 저섬유소 식이, 고지방 음식 및너무 정제된 음식(흰쌀, 밀가루) 등의 위험인자로 제기됨.
2) 가족적 성향이 있으며, 고칼로리의 지방 음식과 육류의 과다 섭취 또한 암 발생과 관련됨.
3) Chronic ulcerative colitis(만성 궤양성 대장염), granulomas(육아종) 및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가족성 선종성 용종)이 있으면 위험이 더 높아짐.

 

참고문헌

김금순 외 7명(2014), 「성인간호학Ⅰ」, 파주: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김금자 외 12명(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현문사
국가암센터 http://www.cancer.go.kr/
삼성의료원 <중년이후의 건강> http://www.smc.or.kr/health/14/h014-05.htm
http://www.radiologyinfo.org/en/info.cfm?pg=abdominct
http://www.slgdocs.com/service/colonoscopy/
Monthly Publication of Iranian Hospital, Dubai http://ircmj.com/2044.fulltext
Harvard Medical School http://www.patienteducationcenter.org/articles/barium-enema/
http://scroll.in/article/762250/pull-your-finger-out-doc-rectal-exams-arent-the-best-way-to-find-prostate-cance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실습 대장암 case study”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