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뇌내출혈 간호과정

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뇌내출혈 간호과정”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뇌내출혈의 이해, 병태생리, 증상, 검사, 치료, 간호방법, 간호진단, 간호중재

2. 간호과정 ※ 간호진단, 간호계획만 있습니다. (간호사정 無, 간호수행 無, 간호평가 無)
1) 조절기전 부전과 관련된 체액과다
2) 신경계 손상과 관련된 고체온
3)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본문내용일부

1)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① ICH에 대한 병태(병이 나타나는 증상이나 진행 단계) 및 생리(위험인자, 요인)

(1) 뇌내출혈(ICH, Intracerebral hemorrhage)의 이해
- 정의: 뇌내출혈은 겉질하 백색질부위의 동맥과 정맥의 출혈로 혈액이 뇌실질조직에 고인 것이다. - 분류: 외상성 두개강 내 혈종의 일종이며 그와 같은 맥락으로는 경질막외혈종(EDH, Epidural hematoma), 경막하혈종(SDH, subdural hematoma), 외상성 지주막하출혈(SAH, traumatic subarachnoid hemorrhage)가 있다. - 원인: ICH의 원인으로는 직접적 외상, Fx, 뇌줄기 꼬임으로 80~90%정도가 관자엽 및 이마엽에 발생한다.

(2) 뇌내출혈의 표지자 역할
- Brain CT 상에서 혈종의 양이 많고 뇌조직의 중앙선이 이동한다.
- mental change와 국소 징후를 보인다.

(3) 뇌내출혈의 증상
- 뇌내출혈의 증상은 두부외상 충격의 정도, 뇌내혈종의 크기 및 위치, 경막외혈종 유무, 경막하혈종 유무, 뇌부종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두개내압이 상승한다.
- 호흡: 호흡의 양과 질을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GCS 8점 이하인 경우에는 기도 내 삽관을 고려해야 하는데 산소공급이 두개내압 관리에 중요하기 때문이다. 의식수준이 저하된 경우에는 흡인의 위험과 호흡기능 손상의 위험이 있어서 분비물을 필요시 제거하고 기도를 확보하면서 호흡상태를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 V/S: 두부손상으로 인한 자동조절기전의 손상으로 뇌혈류 변화가 나타난다. 고혈압: 두개내압이 상승하고 쿠싱반사로 HTN, 맥압 상승, 불규칙한 호흡, 서맥이 발생한다. 대뇌혈류가 HTN으로 계속 상승하고 혈관성 부종이 나타나 두개내압이 계속 상승하게 된다.저혈압: 혈액량감소 쇼크로써 나타나며 빈맥으로 보상작용이 나타난다.

 

참고문헌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상권. 서울: 현문사:2019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하권. 서울: 현문사:2019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뇌내출혈 간호과정”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