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후감상문

지브리로 보는 여성서사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지브리로 보는 여성서사”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II. 본론
1. 모노노케 히메
① 원령공주, 산
② 에보시
③ 타타라 성 주민
2.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3. 마녀 배달부 키키
4.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I. 서론
연구 배경 및 목적
일본은 애니 산업에 6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고도로 발달한 애니메이션 문화를 구축하고 있다. 일본이 애니의 거장이 된 데에는 지브리 스튜디오 또한 한몫했을 것이라 단언할 수 있다. 현재까지 지브리 스튜디오가 제작한 애니메이션은 이를 즐겨보는 사람들, 통칭 오타쿠를 넘어서 일반 대중들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지브리 애니메이션에서는 공통적으로 ‘자연과 여성’을 주제 의식으로 삼고 있다. 인간의 끊임없는 탐욕으로 오염된 자연과 여성을 주연으로 이야기가 흘러가고 주변 인물 또한 여성을 보조하는 역할로 존재한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여성’에 주목할 것이다. 이를 통해 지브리 스튜디오가 구현해내는 여성 중심 서사를 분석하고 추구하는 여성상에 대해 찾아보려고 한다.

II. 본론
1. 모노노케 히메
<모노노케 히메>의 주인공인 산은 숲속에서 들개와 함께 살아가는 이다. 그녀는 자연에서 물자를 확보하려는 에보시 군대와 맞서 싸우며 홀로 자연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이야기는 남자 주인공인 아시타카의 시점으로 전개되나 이야기를 끌어가는 주축은 산(원령공주)과 에보시의 치열한 전투이다.
① 원령공주, 산

<그림 1> 모노노케 히메 표지

모노노케 히메, 원령 공주라는 제목에서 우리는 괴리감을 느낄 것이다. 평소 우리가 알고 있던 공주의 이미지는 좋은 비단의 옷을 입고 잘 관리된 머리와 얼굴을 하고 화려한 궁전에서 풍족한 삶을 사는 이를 생각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림1> 에서 보듯이 그녀는 가죽을 두르고 거칠게 잘린 치마와 부스스한 머리와 얼룩진 얼굴을 하고 있다. 사진 속 공주의 모습은 공주라기보다는 인디언 쪽에 가까워 보인다. 여기서 기존의 공주라는 이미지에서 탈피한 자유롭고 활동적인, 또한 치열한 삶을 사는 공주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산은 갓난아기 시절 산속에서 버려져 들개 신 모로 손에서 키워졌다. 인간의 몸을 가졌지만 자연 속에서 자란 그녀는 자신을 들개로 인식하며 자신의 보금자리인 자연에 침입하여 해를 끼치는 인간을 혐오한다. 따라서 문명을 일구기 위해 자연의 물자를 이용하려는 에보시 군대와 대립할 수밖에 없다. 이것에서 산의 전투적이고 투사적인 면모를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김종태. "지브리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여성성의 발현 양상." 한국문예비평연구 0.64 (2019): 423-444.
정병숙.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애니메이션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2013. 충청남도
키리도시 리사쿠, “미야자키 하야오론”, 남도현 역, 송락현 감수, 열음사, 2002.
시미즈 미사시, “미야자키 하야오 세계로의 초대”, 이은주 역, 좋은 책 만들기, 2004.
박기수 ( Park Ki Soo ). "<마녀배달부 키키>, 성장과 수행의 거리." 한국언어문화 0.46 (2011): 163-185.
이영미. "<토토로>와 <센과 치히로>의 이사의 의미." 국내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전라북도
Whale Shark, Whale Shark의 포스타입, https://whaleshark.postype.com/about.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지브리로 보는 여성서사”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