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신생아 황달, 저칼슘혈증(Neonatal Jaundice, Hypocalcemia) CASE STUDY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신생아 황달, 저칼슘혈증(Neonatal Jaundice, Hypocalcemia) CASE STUDY”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신생아/고위험 신생아 간호사례
1) 간호사정
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양식(Hypocalcemia)
3) 검사소견
4) 투약
5) 간호과정

Ⅱ.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정의
신생아 저칼슘혈증은 일반적으로 총 혈청 칼슘농도가 7mg/dl 이하(정상범위는 7.0~8.5mg/dl 범위)로 정의된다. 칼슘은 인과 마그네슘 대사와 관련 있기 때문에 신생아 저칼슘혈증은 고인산혈증(혈청인 8mg/dl 이상)이나 저마그네슘혈증(혈청마그네슘 1.5,g/dl 이하)과 관련될 수 있다. 저칼슘혈증은 조기 저칼슘혈증과 후기 저칼슘혈증으로 분류된다.

원인
- 문헌
조기 저칼슘혈증 – 생후 수일 내에 출생 후 모체로부터 태반을 통한 칼슘 이동이 중단되어 칼슘 농도가 생리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칼슘 농도는 24시간 경에 최저치에 도달했다가 생후 24~48시간 후에는 만삭아에서 8mg/dl 이상으로 증가되어 정상화된다. 조기 저칼슘혈증은 24~48시간 내에 이러한 생리적 감소가 과도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칼슘 감소에 대한 정상적인 호르몬 반응이 일어나지 않거나 칼슘섭취의 부족으로 생긴 조기 저칼슘혈증의 고위험 요인은 미숙아, 당뇨병 모체의 아기 및 주산기 가사 등이다. 조기 저칼슘혈증의 빈도는 미숙아에서 30~90%, 당뇨병 모체 아기에서 50% 정도이다. 저칼슘혈증은 심혈관계 및 신경계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후기 저칼슘혈증 - 후기 저칼슘혈증은 주로 생후 7일 이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이 용어는 모유수유로 인한 인의 과부하로 발생하는 저칼슘혈증에 사용한다. 즉 분유에는 인의 함유량이 많이 과인증을 유발하고, 이로 말미암아 뼈와 연조직에 칼슘 침착을 증가시키거나 부갑상선 호르몬에 대한 칼슘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저칼슘혈증이 초래된다. 그러나 산업화된 국가에서 신생아의 일차적 영양으로 모유와 유사하게 상품화된 조제유나 모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흔히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이름으로 우유로 인한 저칼슘혈증 혹은 신생아 테타니라고도 한다. 이 질병은 흡수장애나 갑상선 기능저하증, 저마그네슘혈증이 있는 신생아에서도 올 수 있다.
- 사례대상자
대상자는 생후 6일 후에 황달과 저칼슘혈증이 발생하였다. 칼슘농도가 생리적으로 감소하여서 조기 저칼슘혈증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아동간호학. 현문사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약학정보원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신생아 황달, 저칼슘혈증(Neonatal Jaundice, Hypocalcemia) CASE STUDY”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