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정신간호 casestudy (조현병)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정신간호 casestudy (조현병)”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Ⅱ. 사정
1. 일반적인 정보
2. 건강정보
1) 입원 시 일반적 상태
2) MSE
3) 현재 건강상태
4) 가족 사정
5) 검사 자료
6) 투여 약물
7) 치료적 활동

Ⅲ. 간호과정
1. S data & O data
2. 간호진단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정의
조현병은 사고(thought), 정동(affect), 지각(perception), 행동(behavior) 등 인격의 여러 측면에 와해를 초래하는
뇌 질환으로, 10대 후반에서 20대의 나이에 시작하여 만성적 경과를 유발한다. 조현병은 하나의 원인이 유발하는
항상 동일한 특성을 가진 질병이 아니라 유전적 소인, 생화학적 기능장애, 생리적 요인, 그리고 사회 심리적 스트
레스 등의 다양한 변수의 조합에서 기인한다는 학설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분명한 것은 흔히 정신력이 약하다거
나 부모의 잘못된 양육, 악령이나 귀신 때문에 발병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가족 중에 조현병 환자가 있더라
도 일반인보다 발병 가능성은 높아지는 것 뿐이지 100% 유전되는 것은 아니며, 부모가 환자인 경우라도 자녀가
질병이 없을 수 있고 가족 중에 환자가 없더라도 발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현병 그 자체가 유전된다기보다는
쉽게 병에 걸릴 수 있는 소인이 유전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여기에 환경적 요인이 더해져서 발병하는 것으로 생각
된다. 비교적 흔한 병으로 백 명 중 한 명의 발병률을 보이며, 모든 계층의 사람에게서 발병되고 남녀 빈도는 비
슷하다.
2. 원인
현재까지도 조현병의 원인에 대한 수많은 유전적, 신경 해부학적, 생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연구 및 사회심리학
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생물학적 유전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
이 환경적인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을 때 발병한다는 학설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뇌에서 사고, 감정, 행동을 조절하기 위해 분비되는 수많은 신경전달물질 중 도파민의 신경전달과정에 이상이 생
겨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도파민이 과다하게 활성화되어 망상, 환청, 혼란된 사고가 나타나게 된다. 최근에는
도파민 외에도 세로토닌 등 여러 신경생화학적 변화가 상호 작용이 있으며 복합적으로 조현병과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생물학적 소인의 상당 부분은 유전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조현병은 가족력이 있
는 경우가 있으며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전적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임숙빈 외(2015),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p.292~331
김성재 외(2016), 정신건강간호학, 정담미디어, p477~520
Morrsion(2015), 한결 쉬어진 정신장애 진단, 시그마프레스, p.196~206
최귀순(2000), 알기쉽고 재미있는 정시간호학 이론과 실제, 문형출판사, p. 149~164
김금자 외(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제2판), 현문사, p91, 190~191
성경미 외(2014), 인간성장과 발달-이론과 실제, 고문사, p.31~37.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정신간호 casestudy (조현병)”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