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실습 만성신부전 chronic renal failure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간호진단 3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실습 만성신부전 chronic renal failure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간호진단 3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Ⅱ. 자료수집
Ⅲ. 본론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신장(Kidney)
: 신장은 아래쪽 배의 등 쪽에 쌍으로 위치하며 노폐물을 배설하고 산/염기 및 전해질 대사 등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중요한 장기 중 하나이다. 양쪽 신장의 총 무게는 전체 체중의 약 0.4%에 지나지 않지만 신장의 기능이 심하게 저하되거나 소실되면 생명을 유지하기 어렵다. 생명의 유지에 매우 중요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총 심박출량의 20~25%가 신장으로 흘러 들어간다. 신장의 기능을 담당하는 단위 구조로서 네프론이 있으며 이는 소변을 생산하는 데 있어 기본 단위가 된다.
정상인에서 하루에 신장에서 여과되는 혈액량은 무려 180L에 이르지만 대부분은 재흡수되고 실제로 배설되는 소변량은 1~2L에 불과하다. 이는 인체에서 필요한 수분과 영양분들은 재흡수가 되고 더 배설이 필요한 물질은 분비가 되어 최종적으로 소변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만성 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
여러 가지 신장 질환으로 인하여 신장이 정상적으로 가지고 있는 배설, 조절, 대사 및 내분비적 기능이 전체적으로 저하되거나 이상이 초래된 상태

정의
만성 신부전은 3개월 이상 신장이 손상되어 있거나 신장 기능 감소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만성 신부전은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다음의 5단계로 나누어지며 잘 관리하지 않으면 마지막 단계로까지 악화되어 결국은 투석이나 신장이식과 같은 신장대체 요법을 해야 한다.
- 1단계: 신장 기능 검사 상 정상 혹은 소변검사 상 이상이 관찰된다.
- 2단계: 신장 기능이 정상의 69~89%로 약간의 기능 감소가 관찰된다. 1~2단계에서는 신장 기능 저하의 원인(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을 찾아 치료하고, 신장 기능 저하의 진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 3단계: 정상 신장에 비해 신장 기능이 30~59%로 감소된다. 신장 기능 감소에 따른 합병증 발생 여부를 검사하여 치료해야 하며 신장 기능 저하의 진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참고문헌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2013, 460~474쪽
송경애 외, 기본간호학(상), 수문사, 2013, 168~181쪽
이동숙 외, 간호과정, 포널스출판사, 2014, 156~162쪽
대한의학회 http://www.kams.or.kr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실습 만성신부전 chronic renal failure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간호진단 3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