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조현병 케이스스터디”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uCGcq/btsDUbKlPkS/idQ5KX2RMCX99RVk35Mhzk/img.png)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및 간호
3. 간호사례
1) 간호사정 도구 사용
2) 정신의학적 평가 자료 : 진단적 검사 및 기타 자료
3) 치료 및 질병경과
4) 자료분석 : 단서와 추론
5) 간호과정
4. 결론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조현병은 정신질환 중에서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질환이며, 환자 개인과 그 가족에게는 비극적인 질환이다. 왜냐하면 지난 40여 년간 많은 임상적 이해와 치료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조차 규명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현병 환자를 사례로 선정하였으며, 본 사례연구를 통해 조현병에 관한 개념과 지식을 함양하여 조현병 환자에게 더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공부해보고자 한다.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조현병은 뇌의 기질적 장애로 인한 의식 혼탁의 징조 없이 인지, 정동, 행동, 사회활동 등 다양한 정신기능에 이상을 초래하는 주요 정신병이다.
- 개요
① 1800년대 후반 : 크레펠린이 처음으로 조현병의 질병 과정에 대해 기술함, 조발성 치매
라는 용어 사용
② 1900년대 초반 : 블로일러는 조발성 치매를 마음의 분열이라는 의미인 조현병으로 재명
명하고, 몇 가지 유형이 있다고 함
(4A: affective blunting, autism, associative loosening, ambivalence)
③ 최근 : 뇌의 질환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임, 유병률이 비교적 높고, 젊은 나이에 발병하
며, 경과가 만성적이고 파괴적인 경우가 많음
- 임상 경과
① 전구기 : 조현성, 조현형 성격장애, 조용하고 수동적, 친구 적고 내성적, 신체 증상 호소, 사고의 왜곡
② 급성기 : 증상이 심각하여 파괴적이고 괴이하며 공격 행동을 보임, 활성기
③ 안정기 : 증상이 급성상태에 있지는 않으나, 약물요법이 계속되어야 함, 잔류기
④ 유지 회복기 : 가족의 지지나 참여가 매우 중요함
⑤ 재발 : 정기적으로 질병이 재발, 약물요법의 불이행
2. 원인
1) 생물학적 입장
(1) 유전적 소인
일반인구(1%), 환자의 형제(8%), 환자의 자녀(12%), 일란성 쌍둥이(50%), 이란성 쌍둥이(12%)
(2) 뇌의 구조적 이상
① 뇌실의 확장 : 측 뇌실과 제 3뇌실의 확대
② 뇌 피질의 양이 적음 : 내측 측두엽의 피질이 얇고, 해마의 전면부가 축소됨
③ 전두엽 혈류 저하, 좌측 창백핵의 혈류 저하
④ 변연계, 기저신경절, 시상, 뇌간, 소뇌에서 이상 (회백질의 감소, 넓어진 뇌구)
참고문헌
정신건강간호학 / 현문사 / Boyd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 현문사 / 원종순 외
인간심리의 이해 / 시그마 프레스 / 이의영 외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조현병 케이스스터디”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간호학 노로바이러스 case study 진단3개, 과정2개 (0) | 2024.01.25 |
---|---|
자궁선근증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3개 과정3개 (0) | 2024.01.25 |
제왕절개 분만 cesarean section case 사례연구(문헌고찰, 간호진단, 간호과정) (0) | 2024.01.25 |
다발성골수종(Multiple myeloma)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0) | 2024.01.25 |
성인간호학4 ICU 실습, 거미막하출혈 (SAH) (0)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