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4 ICU 실습, 거미막하출혈 (SAH)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4 ICU 실습, 거미막하출혈 (SAH)”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기간 및 방법
4. 간호과정
5.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출혈성 뇌졸중은 뇌혈관 장애의 원인과 유형에 따라 병태생리에 차이가 있으며 일차성 뇌출혈, 동정맥 기형, 동맥류 등과 누출된 혈액으로 인한 두개내압 상승은 뇌조직을 압박하고 손상시키며 거미막하 출혈에서 흔히 동반되는 혈관경련과 감소된 관류압은 뇌의 2차 허혈을 초래하기도 한다. 거미막하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인 뇌동맥류는 뇌와 동맥이 주머니처럼 늘어나거나 확장된 것을 말한다. 두개 내 동맥류는 선천성, 외상성, 동맥경화성 변화로 발생하며 동맥혈관벽이 주머니 모양으로 팽창된 것이다. 약 90%가 선천적이며, 약 80%는 윌리스환에 생긴다. 여성에게 더 자주 발생하며, 30~60세에 흔하다.

간호진단 1. 뇌내 압력 상승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 양상
1. 매 시간마다 V/S을 관찰한다.
(산소화와 관련된 기초자료로 V/S은 가장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2. 대상자의 호흡양상 및 Ventilator 모드를 매 duty마다 사정한다.
(호기나 흡기 시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횟수, 호흡양상, 부속근 사용, Ventilator 모드 등을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3. 대상자의 ABGA 결과를 1일 1회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동맥혈 가스분석을 통해 환기 및 가스교환의 효율성을 사정할 수 있다.)
4. 대상자에게 적절한 산소를 공급한다.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환자의 산소포화도를 정상으로 유지한다.)
5. 대상자에게 침상머리를 30도 올리고, 2시간마다 대상자의 체위를 변경한다.
(폐 용적을 증가시킴으로 최대환기를 할 수 있도록 체위를 취하여 주고 체위를 변경해 분비물 배출의 정체를 막아 기도개방과 폐 환기를 촉진시킨다.)
6. 1시간에 한 번씩 기관 내 흡인을 시행한다.
(분비물 정체를 배출하여 호흡기 감염, 비효과적인 가스교환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7. 대상자에게 필요시 처방에 따라 기관지 확장제, 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공기흐름을 증가시키기 위해 대상자의 기관지를 확장시키고 객담을 묽게 하여 객담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기도자극 요인을 제거시킨다.)

 

참고문헌

윤은자 외 11인. 성인간호학(II). 수문사.
원종순 외 3인.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4 ICU 실습, 거미막하출혈 (SAH)”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