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학 노로바이러스 case study 진단3개, 과정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5gb35/btsDWQSZj4r/R057IhLrSAuh0MOCNKmiD0/img.png)
목차
1. 문헌 고찰
2. 간호력
3. 진단검사
4. 투약
5. 간호 진단 & 간호과정
6.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 급성 위장염
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 AGE)은 위와 소장에 오는 급성 염증으로서, 급성 설사병이라 불리기도 한다. 설사를 일으키는 장관플루(intestinal flu), 여행으로 인한 설사(traveler‘s diarrhea), 바이러스성 장염, 식중독(food poisoning)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심한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이 주된 합병증이다.
흔히 위장관염은 구역과 구토(nausea&vomiting)가 주된 증상으로 나타나며, 열과 복통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여러 가지 다양한 원인균에 의해 발병되며, 과도한 수분손실로 탈수의 위험에 빠질 수 있다.
1) 원인과 병태생리
급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이질아메바(Entamoeba histolytica), 박테리아, 항생제로 인한 반응, 효소결핍, 식품 알레르기, 독물 섭취(ingestion of toxins), 기생충, 바이러스를 꼽는다. 이 중에서 가장 흔한 것은 Rota virus에 의한 위장관염으로 영아기 설사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된다. Rota virus 외에도 Nor-walk virus, Adenovirus도 바이러스성 위장관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다. Nor-walk virus는 나이든 아동에게 주로 감염을 일으키는 유행성 위장관염의 가장 흔한 병원체이다.
급성 위장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유발원인에 대한 장관이 반응하여 장액(luminal fluid)이 흡수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하고, 이로 인해 복통, 구토, 설사가 나타나며, 이차적으로 세포내액의 고갈을 초래한다. 따라서 탈수와 전해질 손실이 병행된다.
바이러스성 위장관염의 병태생리는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바이러스가 장의 상피세포에 직접 침입하여 상피세포를 손상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 간호사정
(1) 건강력
건강력을 작성할 때는 전체적인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특히 체액 불균형에 주안점을 두고 탈수상태 유무를 면밀하게 사정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서울대학교병원 N 의학정보 <2023년 1월 28일 인용>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05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2023년 1월 28일 인용>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451&diseaseKindId=C000001
김희순 외. 아동청소년간호학1.: 수문사; -2021년 <2023년 2월 1일 인용>
김희순 외. 아동청소년간호학2.: 수문사; -2021년 <2023년 2월 1일 인용>
김영희 외 12인, 2016, 최신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817~820 <2023년 2월 1일 인용>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2023년 1월 30일 인용>
식품의약품 안전처 https//:www.mfds.go.kr/index.do <2023년 1월 30일 인용>
함소아한의원 https://hamsoa.com/ <2023년 1월 30일 인용>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학 노로바이러스 case study 진단3개, 과정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일반외과 결석성 담낭염) (0) | 2024.01.26 |
---|---|
회전근개, 회전근개 파열, 회전근개 ARCR 실습 case 간호진단 2개 (0) | 2024.01.26 |
자궁선근증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3개 과정3개 (0) | 2024.01.25 |
조현병 케이스스터디 (0) | 2024.01.25 |
제왕절개 분만 cesarean section case 사례연구(문헌고찰, 간호진단, 간호과정) (0) | 202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