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자궁선근증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3개 과정3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0SnI3/btsDWrzaDCP/x11cqcAeaphLRAnj5jRyW1/img.png)
목차
1. 문헌고찰
2. 사례연구
3.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문헌고찰
<자궁선근증(Adenomyosis)>
1. 정의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자궁내막 조직에 의해서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증상을 말한다. 자궁으로 비정상적으로 침투한 자궁내막 조직이 주위의 자궁근층의 성장을 촉진하여 마치 임신 시 자궁이 커지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자궁의 크기는 임신 12주 정도의 크기까지 커질 수 있다. 그러나 비전형적으로 단지 조직검사에 의해 확인되는 경우도 있고, 자궁근종처럼 국소적인 혹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자궁을 적출하여 병리검사를 해야 확진이 가능하므로 정확한 유병률을 알 수는 없다. 대개 출산하지 않았던 사람보다 출산의 기왕력이 있는 경산부에서 흔하다.
2. 원인 및 위험요인
-자궁선근증의 원인은 자궁내막 기처층의 이상 샘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근층 내로 직접 확대되어 증식하는 것이다. 위험요인으로 가족력, 다산력 등이 있으며, 고농도의 에스트로겐이나 산후 자궁내막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자궁선근증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드물어 약 80%에서 다른 골반내 질환이 발견된다. 자궁근종이 가장 많이 동반되고 이외에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암과 동반되어 나타난다.
3. 증상 및 징후
-자궁선근증이 있는 환자에서 증상이 모두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월경과다, 월경곤란증, 부정자궁출혈, 성교곤란증, 만성골반통, 자궁근 비후 등이 발생한다. 월경곤란증은 월경예정일 1주 전에 시작해서 월경이 끝난 후에도 해결되지 않을 수 있고 과다출혈과 지연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장기간 지속되는 골반통도 주요한 증상이며 또 하복부에서 만져지는 덩어리로 병원을 찾기도 한다. 40~50대 여성에게 많이 볼 수 있는데, 이 중에서 1/3은 별다른 증상이 없고 또한 불임증이 발생할 수 있다.
4. 진단
-자궁선근증을 진단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은 없으며, 자궁의 비대, 임신반응 검사 음성, 속발성 월경곤란증, 월경과다, 비정상적 자궁출혈 등의 증상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진단한다.
-질 초음파를 통해 자궁비대 정도, 대칭성, 도플러를 이용한 혈류속도 등을 파악한다. 이 외 MRI, CA-125 등이 보조적 방법으로 사용한다.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 현문사
간호과정 실무지침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자궁선근증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3개 과정3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전근개, 회전근개 파열, 회전근개 ARCR 실습 case 간호진단 2개 (0) | 2024.01.26 |
---|---|
아동간호학 노로바이러스 case study 진단3개, 과정2개 (0) | 2024.01.25 |
조현병 케이스스터디 (0) | 2024.01.25 |
제왕절개 분만 cesarean section case 사례연구(문헌고찰, 간호진단, 간호과정) (0) | 2024.01.25 |
다발성골수종(Multiple myeloma)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0) | 202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