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RDS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2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RDS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기간
3. 사례로 채택하게 된 동기

Ⅱ. 환아의 전반적 질병의 과정 요약
1. 주요 증상
2. 증상 발생부터 입원 현재까지의 질병 과정에 대한 요약 진술

Ⅲ. 문헌고찰
1. 성장발달 단계별 평균 달성 기준과 대상 아동과의 비교
2. 사례 아동의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Ⅳ. 간호과정
1. 자료수집
A. 일반적 사항
B. 과거력
C. 현 병력
D. 영양과 배설 양상
E. 활동과 휴식 양상
F. 역할 및 관계 양상
G. 스트레스 대처 양상
H. 인지 및 지각 양상
2. 발달 사정(Denver Ⅱ)
3. 신체 사정
4. 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
5. 경구, 비경구적 투약과 정맥 주입
6. 외과적 치료

Ⅴ. 간호 진단 및 간호 중재
1) 간호 문제 목록
2) 간호 진단
3) 간호과정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① 진단명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② 원인 또는 유발요인
호흡곤란증후군(RDS)는 표면활성제의 결핍과 흉곽의 생리적 미숙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폐포가 찌그러져 펴지지 않기 때문에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가스 교환이 감소하게 된다. 미숙아는 폐가 가스교환을 위한 효과적인 기관으로 완전히 발달하기 전에 태어나서 표면활성제(폐포가 찌그러지지 않고 팽창된 상태로 모양을 유지하도록 하는 물질) 분비가 불충분하다.

③ 증상
● 빈호흡(80~120회/분) → 모든 RDS 영아에게서 이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극소저체중출생아와 초극소저체중아의 경우 신체적 미성숙으로 인해 출생 시 호흡곤란과 쇼크가 나타날 수 있다.
● 호흡곤란(호흡 깊이보다 호흡수가 증가)
● 늑골간이나 하늑골의 흉곽함몰이 두드러지게 나타남
● 흡기 시 미세한 악설음(crackles)
● 호기 시 들을 수 있는 그렁거림(grunting)
● 콧구멍을 벌렁거림
● 청색증/창백함

④ 진단검사
RDS의 진단은 출생 전후의 폐 성숙도 진단, RDS 자체의 진단으로 나뉜다.

⑴ 출생 전후의 폐 성숙도 진단
① Lecthin/spingomyelin(L/S) 비 : 레시틴(lecithin)은 표면활성제의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폐가 성숙됨에 따라 증가하지만 또 다른 성분인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은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이들 물질의 비율을 통해 폐의 성숙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비율이 2:1 이상 되어야 스스로 자가 호흡이 가능할 만큼 폐가 성숙되었다고 볼 수 있다. L/S 비가 1.5 이하의 폐에서 RDS 발생 위험이 높다.
(※ 일반적으로 제태 36주 이상에서는 L/S 비가 2.0 이상으로 나타남)

② 포말 안정 검사(shake test-진탕시험, bubble stability test-기포검사, foam stability test) : 양수나 위액에 동량의 95% 에탄올을 섞어 15초간 흔든 뒤 15분간 방치하여 분리되는 층의 형성을 보는 방법이며 이를 통해 표면활성제가 충분히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참고문헌

NCPAP https://youtu.be/4ZLChzT0ops
김효신 외(2020) 아동건강간호학 Ⅰ, 수문사
김영혜 외(2018)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김옥수 외(2021)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송영신 외(2021) EBN 기본간호학 Ⅰ, Ⅱ, 수문사
이은희 외(2021)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31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소아/신생아 질환,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29b&CONT_SRC=CMS&CONT_ID=2573&CONT_CLS_CD=001020001008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Pharis 모성역할자신감 측정 도구 관련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117057862197.pdf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RDS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