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자궁내막의 악성 신생물(자궁내막암) 케이스스터디(알레르기 반응의 위험, 오심)”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간호력
2. 질병에 대한 기술
1) 병인론
2) 임상증상
3) 치료
4) 간호중재
3. 투약
4. 진단검사
5. 간호과정
6.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자궁몸체 중 내벽을 구성하는 자궁내막에 생기는 암. 자궁내막암의 약 80%는 선암종(Adenocarcinoma)으로 이것은 암이 자궁내막의 선(glands)에서 발생하는 것을 의미. 조기에 발견 시 완치율이 높은 암이다.
자궁내막암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상태지만, 에스트로겐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자궁내막암의 위험인자에는 다음과 같다.
- 초경 연령이 빠른 경우(12 세 이전)
- 폐경 연령이 늦은 경우
- 임신 및 분만 경험이 없는 경우 또는 불임
- 비만, 동물성 지방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식단의 지속.
- 특정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의 무계획적인 사용
- 여성호르몬에 영향을 주는 약제의 장기적인 사용
- 호르몬 불균형(체내 에스트로겐 과다 및 불충분한 프로게스테론)
- 당뇨병, 유방암, 난소암, 다낭성 난소 증후군, 비정형 자궁 내막 증식증 등.
자궁내막암은 서양에서의 발생률이 높으며, 최근 2016 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4 년 대한민국에서 217,057 건의 암이 발생했는데, 그 중 자궁내막암은 2,068 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1.0%, 전체 여성암 발생의 2.0%를 차지함.
발병 연령대는 50 대(39.2), 40 대(22.9%), 60 대(16.2%)순이었다. 주로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여성이 평생을 살면서 자궁내막암에 걸릴 확률은 약 2%정도이다.
자궁내막 증식증은 자궁내막암이 생기기 전의 상태로, 자궁내막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게 되는데, 종류에 따라 약 30% 정도까지 자궁내막암으로 발전하게 된다. 따라서 자궁내막증이 진단되는 경우, 그 종류에 따라 주의 깊게 추적관찰 및 호르몬 치료 또는 수술이 필요하다.
* 자궁내막암 종양표지자
자궁내막암의 종양표지자로는 CA125, CEA, CA15-3, CA19-9, Prolactin 등이 있다.
대표적으로 CA125 수치는 월경 주기, 임신, 자궁내막증을 포함한 양성의 생리학적 및 병리학적 상태와 자궁내막암과 같은 악성 상태에서 증가한다.
참고문헌
김봉석∙김윤숙∙전섭∙김종수∙최승도∙배동한(2005), 수술 전 CA125농도와 자궁 내막암 환자 병기와의 관계, 부인종양 제16권 제1호, 34-37p
김영희(1997), 자궁내막암의 이해, 대한간호학회지 제36권 제1호, 20-28p.
대한부인종양학회(2020), 부인암 진료권고안 version 4.0, 54-67p.
박영한∙유희석∙주희재∙이정필∙오기석(2001), 자궁내막암 두 가지 형태의 임상적 특성, 대한산부회지 제44권 제3호, p594-600.
삼성서울병원(2018), 자궁내막암,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안내서.
서울대학교암병원, 오심∙구토, http://cancer.snuh.org/board/B017/view.do?bbs_no=3686&s earchKey=&searchWord=&pageIndex=1
엄태선, “40대 환자, ‘파클리탁셀’ 투여 후 아나필락시스...”흔한 부작용””, News The Voice, 2022.02.15.
원자력병원, 자궁내막암, https://www.kcch.re.kr/dept/main/index.do?DP_CODE=C008&M ENU_ID=002004003
이윤석(2017), CA 19-9 종양표지 검사의 임상적 의미, Korean J Gastroenterol, Vol. 70 No. 2, 61-63p.
이종실∙신정규∙고경혁∙이정희∙김활웅(2004), 자궁목 병변에서 p16, p53단백과 Ki-67의 발현, The Korean Journal of Pathology, 238-243p.
최은선∙정민형∙마진영∙이수정∙김대연∙김종혁∙김용만∙김영탁∙남주현∙목정은(2005), 재발성 자궁내막 암 환자에서 복합항암화학요법의 치료효과, 부인종양 제16권 2호, 163p-168p.
허성렬, “덱사메타손, 라모세트론 항구토 효과 증진”, 의학신문, 2005.04.27.
Kumar U Nithin∙MG Sridhar∙K Srilatha∙S Habebullah(2018), CA 125 is a better marker to differentiate endometrial cancer and abnormal uterine bleeding, Afr Health Sci, https://www.nc bi.nlm.nih.gov/pmc/articles/PMC6354887/
Melissa D. Gordon, Karen Ireland, Pathology of Endometrial Carcinoma, https://www.glowm.com/section-view/heading/Pathology%20of%20Endometrial%20Car cinoma/item/238#r24
Veronica Wendy Setiawan 외(2013), Type I and II Endometrial Cancers: Have They Different Risk Factor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 MC3699726/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자궁내막의 악성 신생물(자궁내막암) 케이스스터디(알레르기 반응의 위험, 오심)”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경색 Case Study (0) | 2023.12.19 |
---|---|
RDS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2개) (0) | 2023.12.19 |
가와사키병 케이스스터디 (문헌고찰, 대상자사정, 임상검사결과, 간호진단 6개, 과정2개) (0) | 2023.12.18 |
신생아 패혈증 (Neonatal Sepsis) 사례연구보고서 (0) | 2023.12.15 |
부고환-고환염(Epididymis-Orchitis) 케이스 간호과정 (0) | 2023.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