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간호학과 CASE] 성인간호학 간농양 (liver abscess)”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간농양 구조와 특성
2. 간농양 정의
3. 간농양 병태생리
4. 간농양 원인
5. 간농양 증상
6. 간농양 진단검사
7. 간농양 치료
8. 간농양 간호
9. 참고문헌
Ⅱ. 사례보고서
1. 간호 정보조사지
2) 건강과 관련된 정보
3) 진단검사
4) 임상검사
5) 약물
2.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구조와 특성
간
복부의 오른쪽 윗부분, 폐의 아랫부분 오른쪽, 갈비뼈 뒤에 위치
● 기능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많은 돕는 역할을 한다.
● 소화를 돕는 효소와 담즙을 만든다.
● 피 속에 있는 해로운 물질들이나 약, 알코올, 다른 화학물질과 같은 몸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 에너지를 저장하며 필요할 때 내주기도 한다.
2. 정의
간농양(liver abscess)
세균이나 아메바의 침범으로 인해 간 실질조직에 농양이 생긴 상태
피부 등에 발생한 농양은 피부의 발적, 부종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나 간과 같은 신체 내부 장기에 발생한 농양은 발열, 몸살과 같은 감기 증상, 염증성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때로는 상복부 통증처럼 위염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어 확인이 어렵다.
간농양의 증상은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진단이 늦어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면 패혈증, 복막염 등으로 사망할 수 있는 위험한 질환이므로 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3. 병태생리
간농양의 발생기전은 ① 감염경로를 모르는 경우 ②담도계 원인 ③혈행성 전파로 크게 구분
간농양은 크기가 수 mm에서 수 cm까지 다양하며, 한개 또는 여러 개의 병변을 만든다. 간 문맥, 간 동맥 혹은 담관을 통해서 파급된 농양은 다수의 작은 농양을 만들고, 직접 간실질로 침투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큰 농양을 만든다.
병리조직 소견은 다른 부위에서 발생하는 화농성 농양과 같이, 간실질이 화농성 삼출액으로 대치되며 급성 또는 만성 염증세포들이 주위에 침윤하고 있는 양상을 보인다. 농양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육아조직은 시일이 경과하면 캡슐로 나타난다.
4. 원인
① 화농성 간농양
세균성 간농양이라고도 하며 담도계 질환의 상행성 전파나 복강내 감염 또는 혈행을 따라 전파되기도 한다.
대장균(E. Coli), 포도상구균, 장내구균, 장 내 세균 등이 원인균이며, 그중에서 클렙시엘라균(Klebsiella pneumonia)에 의한 것이 전체의 약 80%에 해당한다.
항암치료를 받거나 호증구감소 중 대상자는 칸디다 감염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08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KIMS www.kimsonline.co.kr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195&CONT_SRC=CMS&CONT_ID=3332&CONT_CLS_CD=001020001012
박순옥 외(2019)PACIFIC성인간호학Ⅰ, p630~650, 퍼시픽
핵심 인체구조와 기능(2018), p619~661, 수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2판, 현문사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간호학과 CASE] 성인간호학 CASE A+ 간농양 (liver abscess)”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EDH, 경막외 혈종 case study, 진단 10개, 간호과정1개(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장애) (0) | 2023.12.21 |
---|---|
성인간호 Neuromyelitis optica(NMO) 케이스 -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 2개 (0) | 2023.12.20 |
뇌경색 Case Study (0) | 2023.12.19 |
RDS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2개) (0) | 2023.12.19 |
자궁내막의 악성 신생물(자궁내막암) 케이스스터디(알레르기 반응의 위험, 오심) (0) | 202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