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가와사키병 케이스스터디 (문헌고찰, 대상자사정, 임상검사결과, 간호진단 6개, 과정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경과 및 합병증
6) 진단 및 검사
7) 치료
8) 간호중재
2. 사례보고서
1) 사례 요약
2) 사정 자료
3) 투약
3.간호과정
1) 혈관 내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2) 질병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 (고체온, 설사, 구토)
4.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i. 정의
가와사키병은 원인을 알 수 없는 급성, 열성, 발진성 혈관염이다.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후천성심질환으로 피부, 점막, 임파절, 심장 및 혈관, 관절, 간 등에 기능 이상을 가져올 수 있고, 위장관 장애, 담당 수종, 드물게 뇌수막증이 나타날 수 있다. 지역적 및 계절적 호발 현상이 있어 동양에서 높은 발병률을 보이고, 늦겨울과 초봄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주로 5세 이하의 영유아가 전체 발생의 86%를 차지할 정도로 흔하며, 6개월에서 2세의 연령에서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고, 여아보다 남아에게서 1.5배 더 많이 발생한다. 재발률은 3% 정도이다.
ii. 원인
가와사키병의 원인은 아직 불명확하다. 현재까지는 유전학적 요인이 있는 소아가 병원체에 감염되면 과민반응이나 비정상적인 면역학적 반응을 일으켜 가와사키병이 발생한다고 추정하고 있다.
iii. 병태생리
독성인자 혹은 감염이 면역체계에 반응을 유도하여 중간크기의 관상동맥에 영향을 준다.
① 면역반응에 의해 활성화된 면역관련 세포들에 의한 증가된 사이토카인들이 관상동맥의 혈관내피세포에 작용한다.
② 관상동맥 내 평활근 세포에 혈관 내피 유착 물질 (ICAM-1, ELAM-1 등)의 발현이 증가한다.
③ 내피세포 표면상에 새로운 항원들의 발현을 유도하여 혈관내피세포에 염증과 부종이 발생한다.
④ 염증과 부종으로 인해 혈관벽이 약해져 동맥류와 혈전이 형성된다.
⑤ 거대관상동맥류는 파열, 협착, 혈전 형성 및 폐쇄되는 심근경색의 위험이 있으며, 손상된 혈관은 점차 섬유화가 일어난다.
1단계
(급성) 10~14일 지속 - 5일 이상 지속되는 고열 (항생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음)
- 양 눈의 비삼출성 결막염
- 점막의 변화: 홍반, 발진, 건조하고 갈라진 입술, 빨간 혀
(영아) BCG 접종부위 발적
- 사지 변화: 손과 발의 부종, 손바닥과 발바닥의 홍반, 홍반성 발작
- 경부림프절 비대 (학령기 이후 환아에서 확인한다.)
- 빈맥과 사지불안증
- 심한 보챔, 복통, 식욕부진, 설사, 구토, 두통
참고문헌
박호란 외, 근거기반 박호란 외,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상), 현문사, 2020
박호란 외,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하), 현문사, 2020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 내과학8: 결합조직질환: 가와사키병
약학정보원_의약품 상세정보
드럭인포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
서울아산병원_의약품정보 의약품정보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amc.seoul.kr)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가와사키병 케이스스터디 (문헌고찰, 대상자사정, 임상검사결과, 간호진단 6개, 과정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RDS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2개) (0) | 2023.12.19 |
---|---|
자궁내막의 악성 신생물(자궁내막암) 케이스스터디(알레르기 반응의 위험, 오심) (0) | 2023.12.18 |
신생아 패혈증 (Neonatal Sepsis) 사례연구보고서 (0) | 2023.12.15 |
부고환-고환염(Epididymis-Orchitis) 케이스 간호과정 (0) | 2023.12.15 |
지역사회간호학 방문간호 케이스 스터디(급성 담낭염, 골절) (0) | 2023.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