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험보고서

[무기공업분석실험 2학기]철의 정량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무기공업분석실험 2학기]철의 정량”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Experiment Section
4. Result and Discussion
5. Conclusion
6. Reference

 

본문내용일부

중량분석
중량분석 중 칭량형과 침전형이라는 말이 많이 나온다. 먼저 침전형은 침전조건에 의하여 침전된 화합물을 말하며, 용해도가 아주 작은 난용성 화합물이여야 하고 여과하기가 쉬운 물질이여야 한다. 이러한 용해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용해에 의한 손실은 무시 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함량비가 작은 칭량형을 만들 수 있는 침전이여야 한다.
칭량형은 칭량하기 위해 목적성분과 일정한 양적 관계를 가지도록 침전을 건조, 강열하여 만든 일정한 조성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그리고 조성이 일정해야 하며 건조 강열 시 변질되지 않는 안정한 물질이여야 한다. 그리고 목적 성분의 함량비가 작아야 한다.

데시케이터
데시케이터는 염화 코발트 종이와 같이 습기에 민감한 품목을 보존하는데 사용되는 밀봉이 잘 되어있는 도구이다. 데시케이터의 하부에는 수증기를 흡수하기 위해 다량의 실리카겔, 생석회 등 무수 염화칼슘이 함유 되어있다. 그래서 우리가 보관하려는 시료는 공기중에 수분이 모두 데시케이터의 하부에 있는 물질들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건조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입자의 응집이론
콜로이드 입자가 침강하기 위하여는 입자간의 응집이 이루어져 입자의 크기가 커져야 한다. 그러나 앞장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콜로이드 입자는 표면의 전하로 인하여 두 대전체 사이의 반발하는 힘인 쿨롱(Coulomb)력에 의한 반발로 응결을 방해하는 안정요소로 작용하며 두입자 사이의 반데르발스(Van der Waals)력에 의한 인력은 응집을 일으키는 불안정요소로 작용한다. <그림-2>는 두 입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정전기적인 반발력(쿨롱력)과 반데르 발스 인력을 나타낸 것으로 두입자들이 서로 접근하게 되면 서로 떨어져 있으려는 정전기적 반발력이 증가한다. 그러나, 이 에너지 장벽을 넘어 서로 충분히 가까워 지면 반데르 발스 인력이 지배적으로 되어 입자들이 합쳐 지게 된다.콜로이드 입자들을 응결시키려면 이 입자들 사이의 에너지 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충분한 운동에너지를 가해 주거나, 입자표면의 반대전하를 가진 응집제를 가하여 표면전하를 중화시키거나, 전해질을 첨가하여 <그림-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자간의 반발력을 감소시켜 에너지 장벽을 낮추어야 한다.

 

참고문헌

金光均, 화학적 응집 침전을 이용한 침출수 및 축산폐수의 처리 , 2003, 군산대학교
최태형, 침전보조제를 이용한 하수처리기술 , 2011.2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pp.31~38
https://en.m.wikipedia.org/wiki/Iron(III)_oxide-hydroxide 산화철(lll)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무기공업분석실험 2학기]철의 정량”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