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화학및실험2] 화학 전지”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IddGa/btsA7wCiaXA/qmyKimwgKzSGUXpttMkUVK/img.png)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날짜
3. 실험 목표
4. 서론
5. 실험 기구 및 시약
6. 실험 방법
7. 참고 문헌
8. 실험 결과
9. 생각해볼 사항
10. 토의
본문내용일부
[1] 실험 제목
- 화학 전지
[2] 실험 날짜
- 2020년 11월 25일 수요일
[3] 실험 목표
- 자발적 화학 반응으로 일어나는 전자 이동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얻는 전지의 원리를 알아보고, 몇 가지 금속 이온의 전기화학적 서열을 확인한다.
[4] 서론
- 화합물은 양전하를 가진 원자핵 주변에 전자가 구름처럼 분포하여 구성된다. 원자나 분자를 둘러싸고 있는 전자는 원자와 분자의 종류에 따라서 쉽게 떨어져 나가서 다른 원자나 분자로 옮겨가기도 한다. 이때 전자를 잃어버리는 원자나 분자는 “산화”되었다고 하고, 전자를 받은 원자나 분자는 “환원”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산화-환원 반응은 산-염기 반응과 마찬가지로 화학의 여러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녹색 식물의 광합성 반응과 사람을 비롯한 동물의 몸속에서 일어나는 대사 과정도 대부분이 이런 산화-환원 반응으로 생체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공급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분자들 사이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해서 금속선을 통하여 전자가 흘러가도록 만들면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전지(cell)를 만들 수 있다. 건전지와 자동차용 배터리가 그런 화학 전지의 대표적인 예이며, 우리 생활에서 사용하는 전자 제품의 대부분은 이런 화학 전지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산화-환원 반응에서 이동하는 전자를 금속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로 만들기 위해서는 산화 반응과 환원 반응을 서로 분리한 반쪽 전지(half cell)를 금속선으로 연결한 “전지” (cell)를 이용한다. 특히 전류를 만들어서 전기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화학전지를 “갈바니 전지”(galvanic cell)라고 부른다. 화합물이 전자를 잃어버리거나 얻을 경우에는 전하를 가진 이온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대부분의 전지는 이온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수용액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이용한다.
반쪽 전지에는 쉽게 이온화하여 산화 또는 환원될 수 있는 전해질(electrolyte)이 들어있다. 금속 전극은 금속선을 통해서 다른 쪽의 전극과 연결되어 있으며, 용액의 전하 변화를 상쇄시켜주기 위한 염다리(slat bridge)를 사용하기도 한다. 염다리는 U자형의 유리관에 KCl과 같은 염이 섞여있는 젤(gel)로 채워진 것으로 염다리를 통해서 수용액 중에 녹아있는 이온들은 이동할 수 있지만 두 용액이 직접 맞닿아 섞이지는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주의: 유리관 염다리 대신에 얇고 길게 자른 거름종이를 포화 KCl 수용액에 잠시 담근 후 꺼내서 사용해도 무방하다.)
참고문헌
위키피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Lead(II)_nitrate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염화_칼륨
화학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76719&cid=60227&categoryId=60227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75830&cid=40942&categoryId=32257
사이언스올 https://www.scienceall.com/반쪽-전지half-cell/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염다리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화학및실험2] 화학 전지”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실험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기공업분석실험 2학기]철의 정량 (0) | 2023.12.06 |
---|---|
액성한계 소성한계 실험 레포트 (KS F 2303) (1) | 2023.12.05 |
물벼룩 심장박동 관찰 (0) | 2023.11.28 |
[건국대학교 물리실험] 자이로스코프 레포트 (1) | 2023.11.17 |
일반화학실험1 6. 원소의 방출스펙트럼 레포트 (0) | 2023.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