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험보고서

액체의 확산계수 결과레포트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액체의 확산계수 결과레포트”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실험 이론
1) Fick’s Law

4. 실험 데이터

5. 실험 결과 및 계산
1) 1M NaCl
2) 2M NaCl

6. 고찰
1) 실험 목적에 대한 고찰
2) 실험 과정에 대한 고찰
3) 실험 결과에 대한 고찰
4) 오차에 대한 고찰
5) 문헌값과의 오차비교

7. 참고 문헌

 

본문내용일부

1. 실험 제목 : 액체의 확산 계수 (Liquid Diffusion Coefficient)

2. 실험 목적
화학, 물리 공정은 공정과 관련있는 물질의 특성에 의존하고, 공정 공학은 벌크 상태의 물질의 분포 및 변형과 연관된다. 따라서 물질을 변화시키기 위해 공장을 설계하고, 또 가동하기 위해서는 물질들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 및 성질들을 잘 고려해야 한다. 공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매체는 유체이며, 유체의 가장 중요한 특성 중 하나는 바로 ‘확산도’이다. 물질의 이동, 유체의 흐름 등은 이 확산도(Diffusivity)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공장 설계에 있어 이와 관련된 데이터는 필수적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증류수에서 NaCl이 확산되는 정도를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해 살펴본다. 2번의 실험이 진행될 것이며, 각기 다른 농도로 실험을 진행했을 때 농도가 액체의 확산계수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알아본다.

<중 략>

4. 실험 데이터
1) 수직 모세관
모세관 길이 : 5mm
모세관 직경 : 1mm
모세관의 개수 : 121개
2) NaCl 몰농도 계산
NaCl 몰질량 : 58.44g/mol
사용한 NaCl 순도 : 99%
1) 첫번째 실험
NaCl : 5.8966g
용매(수용액) : 100ml
몰농도 : 5.8966g * 0.99 / (58.44g/mol * 0.1 L) = 0.998911 M

2) 두번째 실험
NaCl : 11.7755g
용매(수용액) : 100ml
몰농도 : 11.7755g * 0.99 / (58.44g/mol * 0.1 L) = 1.994823 M

3) 시간에 따른 전기전도도 데이터
이번 실험에서는 첫번째와 두번째 실험 모두 실험 데이터에서 각별히 튀는 값들이 있어 그와 같은 데이터는 삭제 후 데이터 처리하였다.

1) Conductivity vs time Graph of 1M NaCl
1M NaCl 실험에서는 시간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가 초반에서 부자연스럽게 나타났다.

 

참고문헌

성기천,이진휘,김기준 공저, “화학 공학 실험”, 사이텍 미디어, 서울, P.501~508, 2000.
고완석,심현호,유일증,이종집,허광선 공편저, “단위조작”,보문당, P.209~318, 2003.
김선근,김성현,김화용,홍덕희 공역, “분리공정 원리”,교보문고, P.103~170, 1999.
Rovert H. Perry, "Perry's Chemical Engineers' Hand Book", 6th, Mc Graw-Hill, Singapore, 1984.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액체의 확산계수 결과레포트”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