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험보고서

액성한계 소성한계 실험 레포트 (KS F 2303)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액성한계 소성한계 실험 레포트 (KS F 2303)”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실 험 목 적 1
2. 실 험 기 구 1
3. 실 험 방 법 3
4. 실 험 결 과 4
5. 고 찰 7
6. 참 고 문 헌 7

 

본문내용일부

1. 실험목적

(1) 액성한계와 소성한계를 통해 소성도에 따른 세립토의 판별분류를 하기 위해 행한다.
(2) 액성한계와 소성한계를 통해 흙의 공학적 성질을 판단하기 위해 행한다.

2. 실험기구
2.1 액성 한계 시험 기구

(1) 액성 한계 측정기 : 그림 1과 같이 황동 접시, 낙하 장치 및 경질 고무 받침대로 구성된다.
① 낙하 장치는 황동 접시의 낙하 높이를 1로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② 캠은 수동 또는 모터로 작동이 가능하며, 초당 2회의 속도로 황동 접시를 들어 올렸다가 떨어뜨릴 수 있는 것으로 한다.
③ 경질 고무 받침대는 KS M ISO 7619-1에 규정하는 듀로미터 경도 시험 타입 A에 따른 경도가 (885)인 것으로 한다.
다음은 액성 한계 측정기 그림이다. (그림 1.1)

그림 1.1 액성 한계 측정기

(2) 홈파기 날 및 게이지
① 홈파기 날 : 그림 2에서 나타내는 모양 및 치수의 스테인리스 강제의 것.
② 게이지 : 두께 (100.1)의 스테인리스 강제 또는 황동제의 판 모양의 것. 독립된 판 모양의 것이어도 좋다.
다음은 홈파기 날 및 게이지 그림이다. (그림1.2)

(1) 주걱 또는 스페츌라
(2) 증류수가 담긴 분무기
(3) 캔과 저울
(4) 시료를 담을 그릇

2.2 소성 한계 시험 기구

(1) 불투명 유리판 : 두꺼운 불투명 판유리가 바람직하다.
(2) 둥근 봉 : 지름이 약 3인 것으로 한다.
(3) 주걱 또는 스페츌라
(4) 증류수가 담긴 분무기
(5) 캔과 저울
3. 실험방법

두 시험에 사용될 시료 준비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자연 함수비 상태의 흙을 사용하여 KS F 2301에 규정하는 방법에 따라 얻어진 시료 중에서 No.40체를 통과한 것을 시료로 한다. 시료를 공기 건조 또는 노건조하여도 시험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 공기 건조 또는 노건조 시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2) 시료의 양은 액성 한계 시험용으로는 약 200, 소성 한계 시험용으로는 약 30으로 한다.

 

참고문헌

KS F 2303 (2015), 흙의 액성 한계 · 소성 한계 시험방법, 한국산업표준
이상덕 (2014), 「토질시험 원리와 방법」, 씨아이알, pp. 93~110.
토질역학 8판, 「소성도표」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액성한계 소성한계 실험 레포트 (KS F 2303)”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