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급성호흡부전 케이스스터디 ARDS 간호문제 3, 간호과정 3, acute respiratory failure case study 간호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급성호흡부전 케이스스터디 ARDS 간호문제 3, 간호과정 3, acute respiratory failure case study 간호”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가. 사례 선정 이유
나.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치료 및 간호
다. 자료수집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Ⅱ. 본론
1) 진단을 위한 검사 소견
2) 의학적 치료 및 경과
3) 간호문제목록
4)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가. 사례 선정 이유
EICU 실습 첫 날 가장 눈에 띈 것 중 하나가 많은 환자분들이 high flow 02를 비롯한 다양한 산소요법과 잦은 oral suction을 시행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를 계기로 호흡기 질환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관련 질환에 대해 더 알아보고자 해당 진단명의 환자를 케이스 사례로 선정하게 되었다.
다양한 호흡기 질환 중 케이스 사례로 선정한 급성 호흡 부전의 경우, 폐의 섬유성 변화, 콩팥 기능 손실, 심혈관계 이상 등 타 장기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증 질환이다. 또한 아직 유행중인 코로나19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그 위험성에 대한 인지가 필요한 질환이라 생각되어 더욱 깊이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였다.

나.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급성호흡부전은 폐포 내의 가스와 폐모세혈관의 혈액 사이에 생긴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교환 장애가 급성으로 발생한 상태로 신속하게 산소를 공급하지 않으면 치명적인 상황에 이르게 되는 질환이다.

2) 원인
① 낮은 산소 수치(저산소성 호흡 부전)
저산소성 호흡 부전의 일반적인 원인은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심각한 폐렴, 폐 내 과다 체액(심부전이나 신부전으로 인함), 폐 흉터 형성에서와 같은 폐 조직의 이상이다. 이러한 이상은 공기 중의 산소를 흡입하는 폐 조직의 일반적인 기능을 방해한다.
혈전이 폐동맥을 막아(폐색전증) 발생하는 것처럼 폐를 통해 흐르는 혈류에 이상이 생기면 저산소성 호흡 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장애는 산소를 흡입하는 폐 조직의 일반적인 기능을 방해하지는 않지만, 폐 일부에 혈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흡입한 공기에서 산소를 제대로 얻어내지 못한다.

② 높은 이산화탄소 수치(고탄산성 호흡 부전)
고탄산성 호흡 부전이 있는 경우, 정상적인 호흡을 방해하는, 다음과 같은 원인들로 인해 이산화탄소 수치가 매우 높아진다.
● 낮은 갑상샘 호르몬 수치(갑상샘기능저하증)
● 수면 무호흡
● 아편유사제나 알코올 과다 복용으로 인한 진정 상태
● 기도 폐색 또는 협착
● 폐 손상
● 폐 주변의 뼈 및 조직 손상
● 정상적으로 폐를 부풀리는 근육의 쇠약

 

참고문헌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상권 제 7판, 현문사
유양숙 외, 성인간호학 하권 제 8판, 현문사
약학정보원
서울아산병원 의학정보
약학용어사전
MSD 매뉴얼, 급성호흡부전
두산백과, 성인호흡부전증
NANDA 간호진단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급성호흡부전 케이스스터디 ARDS 간호문제 3, 간호과정 3, acute respiratory failure case study 간호”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