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기흉(pneumothorax) 케이스 간호과정(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 론
1. 원인과 분류
2. 병태생리
3.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6. 간호
Ⅱ. 본 론
1. 간호정보조사지
2. 간호과정
1) 간호문제
2) 간호과정
Ⅲ. 참 고 문 헌
본문내용일부
폐(허파) 폐는 흉곽 양측에 위치하며 좌우 한 쌍으로 되어 있으며 각각 늑막(가슴, pleura)으로 둘러싸여 있다. 폐는 대 략 원추형으로 위쪽 끝은 폐첨부(꼭대기, apex), 아래쪽 넓은 부분은 기저부(바닥,base)라고 한다. 폐 기저부는 횡격막에 닿아 있고,폐첨부는 쇄골 위 1~3cm까지 올라가있다. 폐는 선홍색을 띄며,심장,혈관,식도 등으로 인해 패이거나 눌린 자국을 볼 수 있다. 오른쪽 폐는 3엽 10분절,왼쪽 폐는 2엽 8분절로 구분한다. 우측 폐는 엽사이로 깊게 패인 사상열(빗틈새,oblique fissure)과 수평열(수평틈새 horizontal fissure)을 기준으로 상엽,중엽,하엽으로,좌폐에서는 시상열을 기준으로 상엽과 하엽을 구분한다. 분절은 엽기관지에서 갈라진 분절기관지(구역기관지)로 구분된다.
각 폐분절은 기능적으로 독립되어 있어 폐 질환 시 이환된 부분만 제거할 수 있어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하엽을 감싼 늑막이 폐문쪽으로 합쳐지지 못하고 종격동 표면을 덮는 벽측늑막으로 이어진 장막구조를 폐인대(허파인대, pulmonary Iigament)라고 한다.
혈관,기관지,림프관,신경 등이 출입히는 부위를 폐문(허파문,hjlus)이라고 한다 폐에 분포하는 혈관은 폐동맥과 폐정맥(pulmonary artery & vein), 기관지동맥과 기관 지정맥(bronchial artery & vein)이다. 이 중 우심실에서 나온 폐동맥은 폐포를 둘러싼 모세혈관망을 형성한 다음,산소가 풍부한 폐정맥이 되어 좌심방으로 다시 돌아간다. 기관지동맥은 영양혈관으로 흉부대동맥이나 늑간동맥에서 나와 기관지 벽과 주변 결합조직에 산소와 영앙분을 공급하고 일부는 기관지정맥으로,일부는 폐동 맥이 이루는 모세혈관총(얼기,plexus)과 문합을 형성하여 빠져나간다.
폐는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다 통증 감각과 같은 일반 체성 감각신경은 없다 폐신경총에서 기관지를 따라 들어온 자율신경 중 교감신경은 평활근을 이완시켜 기도를 확장시키고, 부교감신경은 평활근을 수축시키고 점액분비를 촉진시킨다 .
참고문헌
박순옥 외 (2019), 성인간호학 Ⅱ, 퍼시픽북스
김금순 외 (2016), 여덟번째판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이동숙 외 (2022),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포널스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mobile/main.do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
방윤이, & 박효정. (2017).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1), 410-422.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기흉(pneumothorax) 케이스 간호과정(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 정형외과 TKRA 퇴행성 관절염 케이스 스터디(진단3 중재2) (0) | 2023.11.22 |
---|---|
전립선암 케이스스터디 (0) | 2023.11.22 |
[간호 케이스] 말초동맥질환 간호과정 (4개), 말초동맥질환의 이해 , 케이스 스터디 (1) | 2023.11.20 |
급성호흡부전 케이스스터디 ARDS 간호문제 3, 간호과정 3, acute respiratory failure case study 간호 (0) | 2023.11.20 |
아동간호 장염(enteritis) 케이스 스터디 과정 2개 (0) | 2023.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