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 COPD 사례보고서 호흡기질환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WWMjO/btsAvsmIYWJ/4f2KJ1FuBV0VLOkKtlSKe1/img.png)
목차
1. 문헌고찰
1) 원인
2) 임상증상
3) 진단검사
4) 합병증
5) 치료와 간호
-> 치료 기계(BIPAP, Nebulizer 설명O)
2. 간호력
3. 간호과정
1) 과다한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산소 공급 변화와 간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3) 부종 및 가려움증과 관련된 피부 손상
4.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문헌고찰
COPD
: 만성염증에 의한 기도와 폐실질 손상으로 비가역적인 기류제한을 특징으로 하는 폐질환
- 염증반응으로 인한 폐실질 파괴(폐기종, 만성 기관지염)와 소기도질환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기류제한이 진행됨으로써 나타남
1. 원인
(1) 흡연 : 가장 큰 위험요인
- 흡입된 연기가 허파의 정상 단백분해효소를 과잉방출하면 허파꽈리의 elastin을 파괴하고 점액 생산을 증가시키고, 섬모의 기능을 억제
(2) 유전 : AAT 결핍증(폐기종을 유발하는 유전성 위험인자) - AAT는 간에서 만들어지고, 정상적으로 허파에 존재한다. AAT는 흡입된 오염물질과 단백분해효소가 허파꽈리조직을 파괴하는 것을 억제한다. AAT가 결핍되면 담배연기나 다른 자극에 노출되지 않아도 젊은 나이에 COPD에 이환된다.
(3) 대기오염
(4) 감염
(5) 노화
2. 임상증상
(1) 외모의 변화
질병이 진행되면 사지의 근육은 가늘어지고, 목 근육은 증대된다. 대상자는 전형적으로 느리게 움직이고, 약간 허리를 구부리고, 고개를 앞으로 숙인 자세로 앉아 있고, 때때로 팔을 앞쪽으로 붙들고 있다.
(2) 호흡의 변화
- 호흡 보조근육의 사용
- 호흡 수 상승(40~50회/분) - 흉부 청진 시 수포음(거품소리) 청진 가능. 흉부 타진 시 과공명음 들림
(3) 그 외
- 호흡곤란
- 객담
- 운동 시 발생함
- 자주 생김
3. 진단검사
(1) 혈액검사(ABGA)
pH 발작시 감소
PaO2 발작시 감소
PaCO2 발작시 증가
(2) 흉부 X-선 검사(방사선검사) - 허파의 과팽창, 심장비대, 가로막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거의 편평해짐
(3) 폐기능검사(PFT)-FEV1/FVC
: PFT는 기류제한을 확인하는데 있어 가장 정확한 검사로, COPD의 진단과 중등도 분류에 있어서 필수적인 검사이다. ü 허파용량과 공기흐름을 측정하여 폐질환을 진단하고 질병의 진행을 사정하며 기관지확장제의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
ü 폐질환(천식, COPD, 폐섬유화증, 간질성 폐질환)의 증상이나 징후가 시작되기 전이라도 폐기능장애를 규명할 수 있고, 치료를 지속하거나 바꾸거나 중단하는 것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줌
ü 폐활량을 측정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폐기능검사이기 때문에, 위의 폐질환은 ‘폐기능 검사’를 통해서만 진단 가능!
참고문헌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제2판), 원종순외3, 현문사, 2018.
COPD 위험요인 https://www.biophysics.org/blog/molecular-mechanisms-of-inflammatory-signaling-in-copd
COPD 평가검사(COPD Assessment Test, CAT)(COPD 진료지침,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GlaxoSmithKline 그룹사 [출처] (직업성)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이란?(4) 중등도평가, 치료 및 관리|작성자 sungshil
성인간호학(상), 황옥남 외, 현문사, 2017, p591-599.
대한민국 의약품정보의 표준,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1231
KMLE 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viewDrug.php?m=%B6%F3%BD%C4&inx=3453&c=62f0ccd9ecceb9655f5cc3c805fa8ec7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약품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INAH100
병실 온습도 참고 -> ‘[메르스 공포 파장] 환기-소독 안하면 병실서 바이러스 72시간 생존...병원감염 취약한 한국, 예견된 사태’, 임솔, 조선일보, 2015.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6/03/2015060303752.html
부종 이론적 근거 참고 -> '서서 일할 때 심한 다리 부종이 있다면 ‘이렇게’ 하세요.‘, 반동규, 하이닥, 2020.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478613
[아임어널스] Ventilator PSV, CPAP, SIMV, 아임어널스
https://www.youtube.com/watch?v=3isgvJSUijE
[Nursing] Bottle breating, 쩨이미
https://blog.naver.com/goodjs1579/221985611982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 COPD 사례보고서 호흡기질환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호흡부전 케이스스터디 ARDS 간호문제 3, 간호과정 3, acute respiratory failure case study 간호 (0) | 2023.11.20 |
---|---|
아동간호 장염(enteritis) 케이스 스터디 과정 2개 (0) | 2023.11.17 |
성인간호학 자료 천식 CASE STUDY 간호진단 3개 (0) | 2023.11.17 |
Pancreas tail ca. 췌장암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통증, 비효과적 호흡 양상) (0) | 2023.11.15 |
Henry Williams 케이스스터디 part 1 COPD (0) | 2023.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