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뇌경색 케이스스터디 cerebral infarction CASE간호학과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뇌경색 케이스스터디 cerebral infarction CASE간호학과”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헌고찰
2. 대상자선정이유
3. 간호정보조사지
4. 임상검사
5. Medication

Ⅱ. 본론
1. Problem List
2. 간호진단

Ⅲ. 결론
1. 실습소감
2. 참고문헌 ∙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1. 문헌고찰
√ 병태생리
뇌경색은 혈전이나 색전에 의해 뇌동매기 폐색되어 뇌혈류가 감소되고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뇌조직이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뇌혈류 감소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가 시작되고,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이를 뇌경색이라고 한다.

√ 원인
ㆍ동맥경화증, 동맥염
혈관벽에서 떨어진 색전이 말단부 뇌혈관을 막아 뇌손상과 혈류장애를 가져온다.
ㆍ죽상경화증
ㆍ고혈압
ㆍ심장질환
ㆍ혈관장애

√ 위험인자
ㆍ60세 이상 고령
ㆍ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ㆍ흡연, 음주, 비만
동맥경화의 원인이므로 뇌경색의 위험인자가 된다.
ㆍ심장질환(심근경색, 부정맥, 판막질환)
색전으로 인해 뇌경색의 위험인자가 된다.
ㆍ피임약 복용

√ 증상
뇌경색의 증상은 혈관이 막힌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1) 색전성 뇌경색
갑자기 발생하고 국소적인 신경계 결손이 나타난다. 증상은 몇시간 또는 며칠 후에 완화될 수 있다.

(2) 혈전성 뇌경색
몇시간 또는 며칠동안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갑작스럽게 생기지는 않는다.

<중 략>

2. 대상자 선정이유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뇌경색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사망원인 중 두 번째로 높은 순위를 차지한다고 한다. 실제로 필자가 실습하고 있는 신경과 병동에서도 뇌경색 환자를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다.
뇌경색은 평소 혈관성 위험인자인 고혈압이나 당뇨, 고지혈증, 흡연 비만 등이 조절이 안되다가 어느 한계를 넘는 순간 발생하는 것이다. 앞서 말한 것들은 옳지 못한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가진 우리 현대인들에게 흔한 질병들이기 때문에, 그만큼 뇌경색이라는 질병은 우리와 가까워지고 있다.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려운 뇌이기 때문에 뇌경색은 더욱 더 무섭고 조심해야 할 병이다. 올바른 예방법을 알고 관리하는 것만이 뇌경색의 위험에서 벗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뇌경색 환자를 CASE STUDY 대상자로 선정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상, 하(2018)/ 현문사/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회지 제25권 2호, 2013. 4 『뇌졸중 후 연하곤란 사정과 중재 체크리스트 개발 및 활용정도』 이은하 외. 전남대학교병원.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2016
박성규, “CBC 검사에서 혈구수치 이상에 대한 해석과 이해”, 대한내과학회지, 제 78권, 제 5호, 2010, p531~539.
서울아산병원-뇌경색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96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8, p303~379.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뇌경색 케이스스터디 cerebral infarction CASE간호학과”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