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회계원리_기업의 회계처리에서 거래발생부터 재무제표 작성까지의 절차를 설명하시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pS0Yl/btsyYpEV1cj/taMM1KxVcAfoIjrNvbOa3k/img.png)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회계순환 과정
2) 재무제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개별경제 주체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서로 상이하다. 가계의 경우 효용의 극대화가 가치 판단의 기준인 반면 기업의 경우 이익의 극대화가 가치 판단을 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경제적인 자원을 기업 내부로부터 조달 할 수 없기 때문에 기업은 은행, 투자자를 비롯한 외부 관계자들로부터 기업 이익의 극대화를 위한 여러 경제적인 자원을 공급받게 된다.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이 다양해지는 것 역시 이와 같은 이유에서 비롯된 것이다.
기업을 경영하는 경영자, 그리고 기업에 의해 고용된 노동자는 대표적인 내부 이해관계자라고 할 수 있다. 기업의 외부 이해관계자는 이보다 훨씬 다양한 편이다. 이는 기업의 자원 조달 경로 역시 다양하기 때문이다. 첫째로는, 협력업체가 있다. 협력업체의 경우 기업이 최종적인 제품 생산을 위해 필요한 재화 또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둘째는, 투자자이다. 투자자는 기업의 설립 또는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공급해주는데, 그 대가로 투자자는 기업의 실적에 따라 배당금을 받기도 하며, 또는 투자금과 비례하여 해당 기업에 대한 지분을 갖기도 한다. 우리가 오늘날 쉽게 볼 수 있는 투자 상품 중 하나인 주식이 바로 그것이다. 만약 기업의 영업 실적이 좋아질 경우 투자자는 자신의 주식을 타인에게 판매함으로써 시세 차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셋째는, 채권자이다. 채권자 역시 투자자와 마찬가지로 기업이 필요한 경제적인 자원을 공급하는 주체이다. 그러나 채권자의 경우 투자자와 달리 투자에 대한 대가로 기업으로부터 이자를 지급받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마지막으로 정부 역시 기업의 여러 이해관계자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기업의 외부 이해관계자인 투자자와 채권자가 특정 기업에 경제적인 자금을 조달하는 이유는 자신의 이익 때문이다. 투자자의 경우, 해당 기업에 투자를 함으로써 이후 기업 가치가 상승할 경우 자신이 투자한 것 이상의 시세 차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기업에 대한 자금 공급을 결정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채권자의 경우, 기업 가치가 상승할 경우, 해당 기업에 대한 채권의 가격 역시 상승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로부터 시세 차익을 얻을 수 있으며 혹은, 채권 상 명시되어 있는 이자를 정기적으로 지급받음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참고문헌
전규안, 친절한회계원리, 아이텍스넷, p.18-60
박경호, 친절한IFRS재무회계, 탐진, P.2-65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회계원리_기업의 회계처리에서 거래발생부터 재무제표 작성까지의 절차를 설명하시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심판전치주의 (0) | 2023.10.24 |
---|---|
글로벌창업계획서 _ 막걸리바 (0) | 2023.10.23 |
일본문화정책(미술정책과 관련)과 관련하여 에세이 작성 (0) | 2023.10.20 |
옥기미의 11권, 서문 제경서서열맥증, 논중서중열수병부동, 논서상오장위증부동, 논서열상기위궐제증, 논중서의보진기, 논서화증치대법.hwp10권 원문 및 한글번역 (0) | 2023.10.20 |
노년기 (0) | 2023.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