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간암 간호진단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간암 간호진단”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간암의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Ⅱ 간호사례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현병력
3) 과거력
4) 가족력
5) 건강력
2. 진단검사 결과
3. 치료 및 경과
4. 간호과정 적용
1) 간호문제 목록 작성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정의
간에서 발생한 암을 간암이라고 한다. 병리학적으로 간세포암종, 담관상피암종, 간모세포종, 혈관육종 등 다양한 종류의 원발성 간암이 있으며 크게 간세포, 담관세포 중 어디에서 기원하였는가에 따라 각각 간세포암종, 담관세포암종으로 세분된다.
간세포에서 기원한 간세포암종이 우리나라 원발간암의 약 85%를 차지하고 그 다음이 담관세포암종이며 그 외 암종은 드물다. 그래서 흔히 간암이라하면 간 세포암(hapatocelluar carcinoma)을 지칭한다. 간암의 80%는 간경변증이 있는 상태에서 발생하며, 나머지 20%의 대부분은 만성 B형 혹은 C혀 간염에서 발생한다. 과도한 음주는 그 자체로도 알콜성 간암의 발생을 유발하며, 다른 만성 간질환에 의한 간암 발생도 촉진시킨다.

2. 원인
(1) 간경변등 등 만성 간질환
간암, 특히 간세포 암의 주요 원인으로는 만성간질환을 들 수 있다. 간경변증환자의 약 20~40%가 간암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간경변증이 생긴 경우에는 그 정도가 더욱 심하다.
(2) A형,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우리나라의 경우 간암환자 중 70~80%가 B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자이다.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 중에서 약 10%가 완전히 회복되지 못하고 만성 간염으로 진행된다. 이 만성 간염환자의 40% 정도는 간경변증으로 이행되고, 이들 중 25%는 간암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C형 간염 바이러스도 B형 간염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발암의 위험인자이다. C형은 B형보다 더 나이가 많은 계층에서 발생하고, 남녀 비슷하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3) 알코올
알코올은 간세포의 효소계를 활성화시키거나, 암의 발생을 억제하는 면역기능을 저하시킴으로써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러나 알코올 자체에 발암성이 있다기보다는 B형 간염 바이러스와 협동작용을 할 가능성이 크다.
(4) 아플라톡신 B1 등 진균 독소
간염 바이러스, 알코올 외에 진균 독소도 간암 발생의 원인이 된다.

 

참고문헌

김금순, 유은자, 김숙영, 김옥숙, 소양숙, 이명선 외 공저,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2017, p526-530
드럭인포 『약품검색-요약정보https://www.druginfo.co.kr/search/search_main.aspx
메리놀병원 65W 업무메뉴얼, 간암(HCC)
김옥현, 박애란, 박선화, 백소영, 선정주 공저, 『성과기반 성인간호학 인상교육(학생용)』, 현문사, 2018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간암 간호진단”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